강좌유의사항
(필독) |
[수강특전] 1. 미시/거시 경제학 교과서 강제 1회독 특강 동영상 중 택 1 무료제공 2. 경제학 12개년 기출문제 연도별 해설특강 동영상 50% 할인제공 3. 경제학을 위한 기초수학 특강 동영상 및 자료, 무료업로드 (경제학 예비순환 등록 시 기초수학 특강 동영상, 바로 수강가능) 4. 경제학 체계정리를 위한 주요 그래프 MAP BOOK(중철) 무료제공 5. 2021년 최종합격자들의 경제학 공부이야기(중철) 무료제공 |
강좌소개 |
“경제학의 이론들을 자세하고 쉽게 분해하여 설명합니다. 수험경제학에 등장하는 각종 경제원리들을 가장 정확한 방법으로 터득할 수 있는 강의!”
* 강의일시 : 2022년 4/1(금) ~ 4/30(토), 총 26회
[강의교재] 주교재 : 2022 선택과 집중의 다이제스트 경제학(개정판 / 이전판 수강불가) + 경제학 체계정리를 위한 주요 그래프 MAP BOOK(무료제공) + 경제학 기출문제모음(2005~2021, 파일업로드) * 다이제스트 경제학 2022년 개정판(제7판)은 기존의 설명 중 자연스럽지 못한 부분들을 대폭 수정하고, 보다 자세한 설명들을 추가하였으며, 초심자들이 사용하는 교재라는 점을 반영하여 복습문제들을 다시 선별하여 해설과 함께 수록하였습니다. 또한 1순환부터 사용하게 되는 중급 교재인 트리니티 경제학과의 연결성도 한층 높였습니다. |
강좌특징 |
[교재관련] 경제학을 처음 접하는 수험생들의 경우 ‘어디까지 공부해야 할지 모르는 상황’이 대부분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방대한 이론을 담고 있는 교수님들의 기본서를 보게 되면, 교과서 분량에서 오는 스트레스가 증가할 수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예비순환에서는 수험목적에 따른 방향 및 난이도 조절을 위해 주요 교과서 내용들을 유기적으로 연결한 다이제스트 경제학을 주교재로 사용합니다. 또한, 수업 진행 시 예습과 복습을 위해 교수님 교과서의 ‘어디를 어떻게 읽어야 하는지’를 매일 지정해드리겠습니다. 경제학 읽기자료는 수업시간에 공부하는 내용에 대한 이해를 돕고, 현실에 적용되는 사례들을 포함한 내용으로 선별하여 제공합니다. 효과적으로 문제에 적용하고 풀 수 있도록 진도에 따른 관련 다이제스트 복습문제를 알려드립니다. 또한 답안작성에 꼭 필요한 주요 그래프들을 정확하게 숙지하고 적용할 수 있도록 경제학 주요 그래프를 정리하고, 관련된 문제들을 표시한 MAP BOOK을 제공합니다. MAP BOOK은 주변에 두고 틈틈이 자주 보시기 바랍니다. 자주 보다보면 그래프를 통해 세부내용을 상기시킬 수 있고, 관련문제 적용에도 수월해질 것입니다.
[강의특징] 1. 오랫동안 기본이론 강의의 정석으로 인정받아온 강의로, 기본원리에 대한 풍부한 이해와 직관적 통찰력을 기르기에 가장 적합한 입문자를 위한 필수과정입니다. 2. 경제원리를 친절하고 정교하게 전달합니다. 따라서 현실경제가 운행하는 원리를 이해할 수 있게 되어 시험에 필요한 응용력을 향상할 수 있습니다. 3. 고득점을 위해서는 수험 목적에 따른 구체적인 학습방향 확립과 최근기출경향을 반영한 난이도 조절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주요 교과서 내용들을 유기적으로 연결하고 정리한 다이제스트 경제학을 교재로 강의합니다. ‘무엇을 어떻게 집중해야 할지’를 명확하게 제시합니다. 4. 강의 진행 시 교수님 교과서의 ‘어디를 어떻게 읽어야 하는지’를 지속적으로 알려드립니다. 이를 통해 효과적인 예습과 복습은 물론 시험에 적합한 교과서 활용법을 숙달할 수 있습니다. 5. ‘경제학에 필요한 기초수학’에 대한 별도의 특강을 동영상으로 제공합니다. 경제학을 처음 접하는 수험생들도 수학에 대한 두려움 없이 입문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6. 진도에 맞춰 복습범위 내에서 모의고사를 진행한 후 강사가 직접 수강생들의 답안을 참고하여 수강생의 입장에서 답안 작성 시 어려워하는 부분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답안 작성 관련 중요한 사항은 수업시간에 언급하도록 하겠습니다. 즉, 이론에 대한 강의뿐만 아니라 답안 작성과 관련된 구체적인 조언도 지속적으로 진행합니다.
[당부말씀] 예비순환은 경제학 순환강의의 출발점이 되는 매우 중요한 강의입니다. 다른 과목과 마찬가지로 경제학은 어떻게 시작하느냐가 매우 중요합니다. 단지 시간의 단축을 위해, 분량의 감소를 위해 어리석은 방법으로 경제학 공부를 시작하면, 이는 반드시 패하는 길이 됩니다. 조금 더디더라도, 조금 힘들더라도 땀 흘리며 시작하는 것이 결국에는 웃음을 가져다줍니다. 그런 의미에서 이번 예비순환 강의는 좀 더 기본원리의 이해와 직관적 통찰력 기르기에 충실하려고 합니다. 최근의 출제 경향이 “아느냐 모르느냐”를 묻기 보다는 “다들 아는 것이겠지만 얼마나 잘 쓰느냐”를 묻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철저히 이해의 학문인 경제학을 번뜩이는 직관으로 파고들어 정교한 논리로 이해하고자 합니다. 경제학의 기본 법칙들을 철저하게 파고들어 현실경제가 운행하는 원리에 대한 직관적인 통찰력을 제공하고, 문제를 풀어낼 수 있는 기본 재료를 마련하는 알찬 강의가 되도록 노력할 것입니다. 설명은 쉽지만 내용은 결코 쉽지 않은 강의입니다. 얄팍한 편법으로 경제학의 중심부를 비켜가려고만 하다가는 결국 경제학에 발목을 잡힙니다. 어렵게 느껴질수록 정공법으로 승부를 걸어야 합니다. 제대로 된 경제학 강의를 수강하십시오!
[각 순환별 강의특징] 예비순환은 ‘다이제스트 경제학’으로 진행하면서 교수님 교과서를 효과적으로 정독할 수 있도록 한 후, 1순환부터는 본격적으로 ‘트리니티 경제학’으로 완성해나갈 것입니다. 다이제스트 경제학과 교수님 교과서가 수험경제학을 위한 기본 재료를 마련한다는 의미가 있다면, 트리니티 경제학은 ‘중급 심화용 교재’의 성격이 강합니다. 곧바로 답안에 적용할 수 있도록 모든 내용이 목차화 되어있으므로 공부한 내용들을 ‘정리’하는데 매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2순환 강의는 트리니티 경제학과 동일한 편제로 구성된 ‘경제학 연습책’으로 진행합니다. 즉, 2순환 강의에서는 다량의 문제를 풀어봄으로써 수험생들이 가지고 있는 경제학 이론을 구체화하고 응용하는 연습을 합니다. 3순환 강의에서는 ‘정선문제집 + 해설집’을 통해 각종 경제이론과 교과서 주요 연습문제들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며, 경제 관련 시사 주제들도 함께 검토합니다. 제가 여러분께 드릴 수 있는 최선의 보답은 ‘좋은 강의’라고 생각합니다. 아무쪼록 이번 예비순환 강의를 진행하는 동안 철저한 예습과 복습으로 최대한 많은 것들을 강의로부터 얻어갈 수 있도록 하십시오.
|
✔이 책의 특징
이번 개정판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1 기존 설명 중 자연스럽지 못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을 다듬었다.
2 설명이 부족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을 좀 더 보충하였다. 특히, 본문의 내용을 보충함과 동시에 날개의 보충설명들을 보다 풍부하게 채웠다.
3 최근의 출제경향을 반영하여 출제될 가능성이 낮다고 생각되는 부분들은 과감하게 덜어 내었다.
4 입문자를 위한 기본교재로서 다이제스트 경제학과 중급 교재인 트리니티 경제학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교재의 설명이나 내용의 연속성을 반영하고자 하였다.
5 각 장의 실전문제들을 복습문제들로 명칭을 변경하고, 문제의 구성도 새롭게 하였다. 또한 지나치게 어렵다고 생각되는 문제들은 생략하였다.
머리말
이번 개정판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1. 기존 설명 중 자연스럽지 못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을 다듬었다.
2. 설명이 부족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을 좀 더 보충하였다. 특히, 본문의 내용을 보충함과 동시에 날개의 보충설명들을 보다 풍부하게 채웠다.
3. 최근의 출제경향을 반영하여 출제될 가능성이 낮다고 생각되는 부분들은 과감하게 덜어내었다.
4. 입문자를 위한 기본교재로서 다이제스트 경제학과 중급 교재인 트리니티 경제학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교재의 설명이나 내용의 연속성을 반영하고자 하였다.
5. 각 장의 실전문제들을 복습문제들로 명칭을 변경하고, 문제의 구성도 새롭게 하였다. 또한 지나치게 어렵다고 생각되는 문제들은 생략하였다.
여러 부분에서 부족한 교재이다. 경제학 공부를 시작하는 수험생들이 이 교재와 강사의 강의로 경제학에 대한 자신감과 흥미를 얻기를 바란다.
2022년 3월
황종휴 강사
미시경제학
PART 1 미시경제학의 기초
CHAPTER 01 미시경제학의 기초개념 5
▸복습문제 ∙ 20
PART 2 소비자이론
CHAPTER 02 소비자 선택이론의 기초 25
▸복습문제 ∙ 66
CHAPTER 03 소비자 선택이론의 응용 69
▸복습문제 ∙ 88
CHAPTER 04 불확실성하의 소비자 선택 분석 93
▸복습문제 ∙ 102
PART 3 생산자이론
CHAPTER 05 생산자이론 107
▸복습문제 ∙ 132
PART 4 시장조직이론
CHAPTER 06 완전경쟁시장 137
▸복습문제 ∙ 156
CHAPTER 07 독점시장 159
▸복습문제 ∙ 182
CHAPTER 08 독점적 경쟁시장 187
▸복습문제 ∙ 192
CHAPTER 09 게임이론 195
▸복습문제 ∙ 208
CHAPTER 10 과점시장 213
▸복습문제 ∙ 228
PART 5 생산요소시장 이론
CHAPTER 11 생산요소시장 233
▸복습문제 ∙ 248
PART 6 일반균형이론
CHAPTER 12 일반균형이론 253
▸복습문제 ∙ 266
CHAPTER 13 후생경제학 269
▸복습문제 ∙ 278
PART 7 시장의 실패
CHAPTER 14 시장의 실패 283
▸복습문제 ∙ 294
CHAPTER 15 정보경제이론 299
▸복습문제 ∙ 310
거시경제학
PART 1 거시경제학의 기초
CHAPTER 01 거시경제학의 기초개념 317
▸복습문제 ∙ 324
CHAPTER 02 고전학파와 케인즈학파의 사고체계 327
▸복습문제 ∙ 340
PART 2 국민경제의 총수요 분석
CHAPTER 03 폐쇄경제에서의 총수요 분석 345
▸복습문제 ∙ 370
CHAPTER 04 개방경제에서의 총수요 분석 375
▸복습문제 ∙ 404
PART 3 국민경제의 총체적 균형
CHAPTER 05 국민경제의 공급측면 409
▸복습문제 ∙ 426
CHAPTER 06 경제안정화 정책 429
▸복습문제 ∙ 436
PART 4 실업과 인플레이션
CHAPTER 07 실업과 인플레이션 441
▸복습문제 ∙ 462
PART 5 거시경제학의 미시적 기초
CHAPTER 08 거시경제학의 미시적기초:소비이론 469
▸복습문제 ∙ 482
CHAPTER 09 거시경제학의 미시적기초:투자이론 485
▸복습문제 ∙ 496
CHAPTER 10 거시경제학의 미시적기초:노동시장 499
▸복습문제 ∙ 514
CHAPTER 11 거시경제학의 미시적기초:화폐시장 517
▸복습문제 ∙ 530
PART 6 국민경제의 동태적 변화
CHAPTER 12 경기변동이론 535
▸복습문제 ∙ 550
CHAPTER 13 경제성장이론 553
▸복습문제 ∙ 568
No| | 강의명| | 무료보기| | 자료| | 강의시간 |
---|---|---|---|---|
0회 1강 | 04월 03일 : 기초수학 | 104분 | ||
0회 2강 | 04월 03일 : 미분 |
![]() |
87분 | |
1회 1강 | 04월 01일 : 오리엔테이션 | HIGH LOW |
![]() |
84분 |
1회 2강 | 04월 01일 : 미시경제학 개괄 ~p.8 |
![]() |
70분 | |
1회 3강 | 04월 01일 : 미시경제학 기초개념 p.8~10 |
![]() |
77분 | |
2회 1강 | 04월 02일 : 각종 탄력성의 개념 p.10~15 |
![]() |
84분 | |
2회 2강 | 04월 02일 : 소비자 선택이론의 기초 p.16~27 |
![]() |
64분 | |
2회 3강 | 04월 02일 : 무차별곡선 이론 p.27~35 | 65분 | ||
3회 1강 | 04월 04일 : 소비자의 최적 선택 p.36~48 |
![]() |
98분 | |
3회 2강 | 04월 04일 : 보상수요의 개념 p.50~56 |
![]() |
75분 | |
3회 3강 | 04월 04일 : 가격효과의 분석 p.57~59 | 79분 | ||
4회 1강 | 04월 05일 : 소비자 선택이론의 응용 p.70~72 |
![]() |
92분 | |
4회 2강 | 04월 05일 : 각종 보조제도의 비교 p.73~74 |
![]() |
84분 | |
4회 3강 | 04월 05일 : 다기간 소비모형 p.75~77 | 40분 | ||
5회 1강 | 04월 06일 : 개인의 노동공급 의사결정 분석 p.78~85 |
![]() |
89분 | |
5회 2강 | 04월 06일 : 불확실성하의 소비자 선택분석 p.94~97 |
![]() |
75분 | |
5회 3강 | 04월 06일 : 조건부 상품평면의 분석 p.98~101 | 64분 | ||
6회 1강 | 04월 07일 : 생산함수 논의 p.108~113 |
![]() |
91분 | |
6회 2강 | 04월 07일 : 생산자 이론의 각종 탄력성 p.113~119 |
![]() |
80분 | |
6회 3강 | 04월 07일 : 비용함수 논의 p.120~127 | 60분 | ||
7회 1강 | 04월 08일 : 이윤극대화의 조건 p.127~130 |
![]() |
78분 | |
7회 2강 | 04월 08일 : 완전경쟁시장 p.138~141 |
![]() |
89분 | |
7회 3강 | 04월 08일 : 장기균형의 분석 p.142~148 | 52분 | ||
8회 1강 | 04월 09일 : 완전경쟁시장 균형의 응용 p.149~155 |
![]() |
92분 | |
8회 2강 | 04월 09일 : 독점시장의 단기균형 p.160~164 | 73분 | ||
8회 3강 | 04월 09일 :독점기업에 대한 가격규제 분석 p.174~179 | 40분 | ||
9회 1강 | 04월 11일 : 독점시장 가격차별의 분석 p.165~169 |
![]() |
94분 | |
9회 2강 | 04월 11일 : 2부 가격제도 / 독점적 경쟁시장 분석 p.170~190 |
![]() |
82분 | |
9회 3강 | 04월 11일 : 게임이론의 기초 p.196~197 | 44분 | ||
10회 1강 | 04월 12일 : 내쉬균형의 특징 p.198~205 |
![]() |
91분 | |
10회 2강 | 04월 12일 : 순차게임의 분석 p.205~214 |
![]() |
57분 | |
10회 3강 | 04월 12일 : 꾸르노 모형의 분석 p.215~218 | 63분 | ||
11회 1강 | 04월 13일 : 베르뜨랑 모형의 분석 p.219~223 |
![]() |
91분 | |
11회 2강 | 04월 13일 : 담합과 카르텔 p.224~226 |
![]() |
61분 | |
11회 3강 | 04월 13일 : 생산요소시장의 기초 p.234~235 | 58분 | ||
12회 1강 | 04월 14일 : 단기 노동시장에서의 균형 형성원리 분석 p.236~243 |
![]() |
99분 | |
12회 2강 | 04월 14일 : 장기 노동시장의 분석 p.244~246 | 58분 | ||
12회 3강 | 04월 14일 : 파레토 효율적 자원배분의 분석 p.254~258 | 47분 | ||
13회 1강 | 04월 15일 : 일반경쟁균형과 파레토 효율성의 관계 p.260~265 |
![]() |
75분 | |
13회 2강 | 04월 15일 : 사회후생함수를 이용한 후생분석 p.270~285 |
![]() |
75분 | |
13회 3강 | 04월 15일 : 외부성의 문제 p.286~288 |
![]() |
80분 | |
14회 1강 | 04월 16일 : 생산의 부정적 외부효과 해결방법 p.289~292 |
![]() |
85분 | |
14회 2강 | 04월 16일 : 정보경제이론의 기초 p.292~300 |
![]() |
64분 | |
14회 3강 | 04월 16일 : 신호발송균형의 분석 p.306~306 | 47분 | ||
15회 1강 | 04월 18일 : 거시경제학의 기초 |
![]() |
108분 | |
15회 2강 | 04월 18일 : 거시경제학 개관 |
![]() |
92분 | |
15회 3강 | 04월 18일 : 고전학파의 사고체계 p.328~332 | 63분 | ||
16회 1강 | 04월 19일 : 케인즈학파의 사고체계 p.332~338 |
![]() |
107분 | |
16회 2강 | 04월 19일 : 생산물시장의 균형분석 p.346~349 |
![]() |
89분 | |
16회 3강 | 04월 19일 : 화폐시장의 균형분석 p.350~351 | 35분 | ||
17회 1강 | 04월 20일 : 총수요관리정책의 효과 분석 : 재정정책 p.351~354 |
![]() |
94분 | |
17회 2강 | 04월 20일 : 통화정책의 효과 분석 p.355~358 |
![]() |
90분 | |
17회 3강 | 04월 20일 : 유동성 함정과 LM곡선 p.358~362 | 43분 | ||
18회 1강 | 04월 21일 : 인플레이션 기대와 IS-LM 모형의 수정 p.363~368 |
![]() |
102분 | |
18회 2강 | 04월 21일 : 노동시장의 분석 p.410~420 |
![]() |
101분 | |
18회 3강 | 04월 21일 : 가격경직성과 AS곡선 | 51분 | ||
19회 1강 | 04월 22일 : 경제안정화 정책 |
![]() |
105분 | |
19회 2강 | 04월 22일 : 실업에 관한 기본내용 |
![]() |
65분 | |
19회 3강 | 04월 22일 : 자연실업률 결정이론 | 35분 | ||
20회 1강 | 04월 23일 : 실업과 인플레이션의 관계 |
![]() |
94분 | |
20회 2강 | 04월 23일 : 학파별 필립스곡선 논의 |
![]() |
72분 | |
20회 3강 | 04월 23일 : 거시경제학의 미시적 기초 : 소비이론 | 61분 | ||
21회 1강 | 04월 25일 : 프리드먼의 항상소득이론 |
![]() |
90분 | |
21회 2강 | 04월 25일 : 거시경제학의 미시적 기초 : 투자이론 |
![]() |
81분 | |
21회 3강 | 04월 25일 : 다기간 동태적 이윤극대화에 의한 기업의 투자 | 60분 | ||
22회 1강 | 04월 26일 : 거시경제학의 미시적 기초 : 노동시장 |
![]() |
90분 | |
22회 2강 | 04월 26일 : 새케인즈학파의 실질임금 경직성 모형 |
![]() |
81분 | |
22회 3강 | 04월 26일 : 거시경제학의 미시적 기초 : 화폐시장 | 40분 | ||
23회 1강 | 04월 27일 : 화폐수요이론의 미시적기초 |
![]() |
106분 | |
23회 2강 | 04월 27일 : 화폐공급이론의 미시적기초 |
![]() |
50분 | |
23회 3강 | 04월 27일 : 화폐승수의 내생성과 통화정책 | 60분 | ||
24회 1강 | 04월 28일 : 실물적 경기변동 모형 |
![]() |
102분 | |
24회 2강 | 04월 28일 : RBC와 관련된 논쟁 |
![]() |
72분 | |
24회 3강 | 04월 28일 : 복수균형과 조정실패 모형 | 35분 | ||
25회 1강 | 04월 29일 : Solow 성장모형 |
![]() |
94분 | |
25회 2강 | 04월 29일 : 자본축적의 황금률 |
![]() |
76분 | |
25회 3강 | 04월 29일 : 내생적 성장모형 | 51분 | ||
26회 1강 | 04월 30일 : 개방경제에서의 총수요분석 |
![]() |
95분 | |
26회 2강 | 04월 30일 : 환율결정이론 | 73분 | ||
26회 3강 | 04월 30일 : 개방경제 정책효과분석 : IS-LM-BP 모형 |
![]() |
55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