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소개 |
“행정학 전반의 흐름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최근의 행정학적 이슈와 연관된 각론 주제에 대한 논리적 전개로 연결되는 좋은 답안을 위한 재미있는 행정학 강의!”
* 강의일시 : 2022년 8/30(화) ~ 9/21(수), 총 17회 |
강좌특징 |
- 예비순환에서는 재미있는 행정학 을 통해 행정이론의 전체적 흐름 거버넌스 이론과 실제행정책임성 등과 같은 총론 부분을 주로 학습하였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1순환에서는 정책조직 인사 재무 등 각론 부분에 초점을 맞출 것입니다 그러나 각론의 수험상 주요 이슈들이 총론의 연장선상에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항상 양자를 연계하여 생각하고, 이를답안작성에 반영하는 노력이 요구됩니다.
- 최근 출제경향은 두 가지로 정리될 수 있습니다 하나는 한국행정의 주요 이슈나 문제점을제시하고 이를 행정이론과 연계하여 서술하는 데 초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해당 주제에 대한 단순 암기를 지양하고 스스로 의문점을 찾고 이해하고자 하는 공부 자세가 절실히 필요합니다. 다른 하나는 출제 주제가 특히 (2021-2022년도의 경우) 우리가 배우는 전 범위에 분산되는 경향을 보인다는 것입니다. 이는 행정학 전체에 대한 기본기를 잘 갖추는 것이 매우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합니다.
- 답안작성과 관련하여 5회의 모의고사와 강평을 실시합니다 강의내용을 바탕으로 답안을체계적으로 작성하는 연습을 하고, 사후 강평을 통해 답안지 작성에 관한 구체적인 개선방안을 학습하고자 합니다. 특히 최근의 기출문제가 주어진 지문에 대한 정확한 해석과 이에부합하는 답안작성을 요구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이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연간학습계획] - 예비순환과 1순환을 통해 출제가능한 행정학의 모든 범위 및 주제를 다룰 것입니다.예비순환은 총론 70%, 30%, 1 30%, 70% . 각론 순환은 총론 각론 정도로 각각 구성됩니다 - 2순환(12월 예정)에서는 기출문제 풀이(5급공채 입시 대학원)를 통해 스스로 생각하고논리를 잡는 훈련과 답안작성 연습을 본격적으로 실시합니다. - 3순환(내년 5월 예정)은 최종 내용 정리 새로운 이슈 추가 문제풀이 위주의 강의로 2차시험에 대비한 마무리와 실전 연습을 목표로 합니다. - 4순환(내년 6월 예정)은 가장 핵심적인 주제만을 위주로 2차 시험과 동일한 형식의 모의고사(100점)와 강평으로 이루어집니다. |
✔이 책의 특징
이번 개정판을 통해 전체적인 체계나 흐름을 유지하면서 최근의 학술논문, 인사조직직렬 기출문제, 대학모의고사 등을 참고하여 의미 있는 새로운 주제를 추가하거나 기존 내용을 보완하고자 하였다. 대신 상대적으로 지엽적이거나 수험중요도가 떨어지는 주제의 내용을 줄임으로써 전체 분량이 대폭 늘어나지 않도록 유의하였다. 그리고 가능한 한 각종 통계치를 현재 시점에 맞게 업그레이드하고자 노력하였다.
최근의 기출문제 동향을 보면, 한국행정의 주요 과제로 등장한 현안들을 관련 이론과 연계하고 분석하고, 그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데 초점이 두어지고 있다. 따라서 이번 개정작업도 그러한 출제경향을 충실히 반영하는 것을 하나의 가이드라인으로 삼았다.
본 개정판에서 추가 내지는 보완된 주요 내용을 간략히 적시하면 다음과 같다: 공공선택론적 접근, 사회학적 제도주의와 제도적 디커플링, 균형성과표에서의 네 가지 관점과 주요 지표, 공공가치론을 포함한 후기신공공관리(Post-NPM), 참여적 거버넌스, 이해충돌 방지, 관료제에 대한 대안적 조직구조, 기대이론, 공직동기이론, 의사전달, 중앙인사행정기관, 속진임용제, 공무원의 보수체계(직무급 등), 재정규율 및 재정준칙, 국민참여예산제도, 예산의 분류체계, 성인지예산제도.
제5판 머리말
2019년 4차 개정판에 이어 3년 만에 5차 개정판을 내게 되었다. 이번 개정판을 통해 전체적인 체계나 흐름을 유지하면서 최근의 학술논문, 인사조직직렬 기출문제, 대학모의고사 등을 참고하여 의미 있는 새로운 주제를 추가하거나 기존 내용을 보완하고자 하였다. 대신 상대적으로 지엽적이거나 수험중요도가 떨어지는 주제의 내용을 줄임으로써 전체 분량이 대폭 늘어나지 않도록 유의하였다. 그리고 가능한 한 각종 통계치를 현재 시점에 맞게 업그레이드하고자 노력하였다.
최근의 기출문제 동향을 보면, 한국행정의 주요 과제로 등장한 현안들을 관련 이론과 연계하고 분석하고, 그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데 초점이 두어지고 있다. 따라서 이번 개정작업도 그러한 출제경향을 충실히 반영하는 것을 하나의 가이드라인으로 삼았다.
본 개정판에서 추가 내지는 보완된 주요 내용을 간략히 적시하면 다음과 같다: 공공선택론적 접근, 사회학적 제도주의와 제도적 디커플링, 균형성과표에서의 네 가지 관점과 주요 지표, 공공가치론을 포함한 후기신공공관리(Post-NPM), 참여적 거버넌스, 이해충돌 방지, 관료제에 대한 대안적 조직구조, 기대이론, 공직동기이론, 의사전달, 중앙인사행정기관, 속진임용제, 공무원의 보수체계(직무급 등), 재정규율 및 재정준칙, 국민참여예산제도, 예산의 분류체계, 성인지예산제도.
교재 자체가 행정학 전반을 포괄해야 하는 특성상 저자 혼자만의 능력이나 노력으로 개정작업을 하기는 쉽지 않다. 유익한 많은 정보와 아이디어를 제공해 준 행정학계의 동료 학자들에게 깊이 감사를 드린다. 아울러 개정작업을 위해 수고해 주신 (주)윌비스 관계자들에게도 진심으로 고마움을 전하고 싶다.
2022. 4. 15
박경효
PART 1
행정(학)의 기초적 이해
제1장 행정의 의의와 성격 3
제2장 행정학의 정체성 17
제3장 행정이념 31
PART 2
행정이론의 변천
제1장 행정이론의 의미와 분류 59
제2장 고전적 행정이론 62
제3장 신고전적 행정이론 78
제4장 전환기적 행정이론 89
제5장 현대적 행정이론 95
PART 3
정부와 시장
제1장 정부와 시장에 관한 기초 이론 129
제2장 신공공관리 137
제3장 우리나라의 신공공관리적 정부개혁 151
제4장 성과관리와 전략적 기획 163
제5장 고객지향적 행정 179
제6장 공공서비스의 민영화 185
제7장 정부의 규모: 작은 정부와 큰 정부 204
PART 4
정부와 시민사회
제1장 새로운 거버넌스의 모색 225
제2장 시민참여와 비정부조직 246
제3장 거버넌스 변화의 정책분야별 사례 256
제4장 신공공서비스론 273
제5장 정부신뢰와 사회자본 278
PART 5
행정책임성과 행정문화
제1장행정통제와 책임성 297
제2장 행정부패, 행정윤리, 그리고 공직가치 315
제3장 행정문화 338
PART 6
정부관료제와 정책
제1장 정부관료제의 다면성 353
제2장정부관료제의 이론적 고찰 359
제3장정부관료제에 대한 비판과 변론 376
제4장정부관료제와 정책과정 382
제5장공공갈등 412
제6장정책수단 430
제7장규제정책 437
제8장시차이론과 딜레마이론 454
PART 7
조 직
제1장 조직의 개념과 성격 469
제2장조직구조와 환경 474
제3장정부조직개편과 협업행정 499
제4장조직의개인과 집단 513
제5장조직과 권력 539
제6장조직과 문화 546
제7장조직과 혁신 550
PART 8
인 사
제1장인사행정의 가치적 접근 567
제2장 인사행정의 제도적 기반 571
제3장 인적자원의 전략적 관리 589
제4장 공무원의 임용 603
제5장 공무원의 교육훈련 619
제6장 공무원의 평가와 보상 624
제7장 공무원의 개인적 권리와 삶의 질 645
PART 9
재 무
제1장 재무행정의 기초적 이해 671
제2장 예산과정의 주요 이슈 695
제3장 예산이론 712
제4장 예산제도의 개혁 720
[부록]
찾아보기
/755
그림 목차
표 목차
사례 목차
No| | 강의명| | 무료보기| | 자료| | 강의시간 |
---|---|---|---|---|
1회 1강 | 08월 30일 : 2021~2022 기출풀이 | HIGH LOW |
![]() |
88분 |
1회 2강 | 08월 30일 : O.T ~ 만족모형 |
![]() |
66분 | |
1회 3강 | 08월 30일 : 점증주의 모형 ~ 쓰레기통 모형 |
![]() |
68분 | |
2회 1강 | 08월 31일 : 정책 네트워크 ~ 정책집행전략 p.391 |
![]() |
81분 | |
2회 2강 | 08월 31일 : 정책 순응(불응) p.398 | 50분 | ||
2회 3강 | 08월 31일 : 일선관료제 ~ 정책옹호연합모형 p.399 | 69분 | ||
3회 1강 | 09월 01일 : 답안 쓰기 일반 원칙 ~ 정책평가 |
![]() |
90분 | |
3회 2강 | 09월 01일 : 정책과정에 대한 전통적 접근과 담론적 접근 |
![]() |
55분 | |
3회 3강 | 09월 01일 : 공공갈등 | 71분 | ||
4회 1강 | 09월 02일 : 제1회 모의고사 p.378 |
![]() |
77분 | |
4회 2강 | 09월 02일 : 공론조사 |
![]() |
65분 | |
4회 3강 | 09월 02일 : 정책수단,규제정책 개관 | 68분 | ||
5회 1강 | 09월 03일 : 규제정책 |
![]() |
71분 | |
5회 2강 | 09월 03일 : J.Q Wilson의 규제정치상황이론~ |
![]() |
64분 | |
5회 3강 | 09월 03일 : 이만호 박사 논문(규제협의)~ p.9 | 76분 | ||
6회 1강 | 09월 05일 : 1회 채점평 |
![]() |
90분 | |
6회 2강 | 09월 05일 : 조직목표 ~ 상황이론 | 62분 | ||
6회 3강 | 09월 05일 : 전략적 선택이론 ~ 관료제에 대안적 조직구조 | 55분 | ||
7회 1강 | 09월 06일 : 제2회 모의고사 ~ 강의자료 |
![]() |
84분 | |
7회 2강 | 09월 06일 : 대안적 조직구조 |
![]() |
71분 | |
7회 3강 | 09월 06일 : 책임운영기관 | 50분 | ||
8회 1강 | 09월 07일 : 책임운영기관 ~ 정부조직개편 |
![]() |
96분 | |
8회 2강 | 09월 07일 : 정부조직간 칸막이 현상 |
![]() |
55분 | |
8회 3강 | 09월 07일 : 협업행정~ 동기부여 | 70분 | ||
9회 1강 | 09월 08일 : 제2회 채점평 ~ 동기부여이론 |
![]() |
77분 | |
9회 2강 | 09월 08일 : PSM 조직시민행동 |
![]() |
66분 | |
9회 3강 | 09월 08일 : 조직몰입 ~ 리더십 | 66분 | ||
10회 1강 | 09월 13일 : 제3회 모의고사 ~ 조직에서의 권력 |
![]() |
71분 | |
10회 2강 | 09월 13일 : 갈등관리 ~ 조직과 혁신 |
![]() |
67분 | |
10회 3강 | 09월 13일 : 변화관리기법 | 58분 | ||
11회 1강 | 09월 14일 : 인사행정 개관 ~ 엽관제 |
![]() |
81분 | |
11회 2강 | 09월 14일 : 직업공무원제 ~ 실적제 |
![]() |
69분 | |
11회 3강 | 09월 14일 : 공직분류체계 ~ 중앙인사행정기관 | 79분 | ||
12회 1강 | 09월 15일 : 제13회 채점평 ~ 대표관료제와 AA |
![]() |
87분 | |
12회 2강 | 09월 15일 : 적극적 인사행정(AA) ~ |
![]() |
63분 | |
12회 3강 | 09월 15일 : 고위공무원단제도 ~ 총액인건비제도 | 68분 | ||
13회 1강 | 09월 16일 : 제4회 모의고사 |
![]() |
91분 | |
13회 2강 | 09월 16일 : 공무원 채용제도의 문제점 |
![]() |
55분 | |
13회 3강 | 09월 16일 : 승진 | 54분 | ||
14회 1강 | 09월 17일 : 공무원의 평가와 보상 개관~ |
![]() |
75분 | |
14회 2강 | 09월 17일 : 보수체계 |
![]() |
78분 | |
14회 3강 | 09월 17일 : 성과급제도~ | 72분 | ||
15회 1강 | 09월 18일 : 채점평 |
![]() |
90분 | |
15회 2강 | 09월 18일 : 관료자의 배태된 정치성 | 74분 | ||
15회 3강 | 09월 18일 : 재무행정 | 64분 | ||
16회 1강 | 09월 19일 : 통합예산(재정) |
![]() |
83분 | |
16회 2강 | 09월 19일 : 재정규율과 재정준칙 | 67분 | ||
16회 3강 | 09월 19일 : 예산과정의 주요 이슈 | 91분 | ||
17회 1강 | 09월 21일 : 제5회 모의고사 |
![]() |
82분 | |
17회 2강 | 09월 21일 : 예산이론, 예산제도의 개혁 |
![]() |
72분 | |
17회 3강 | 09월 21일 : 국가재정운용계획 / 종강 |
![]() |
99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