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소개 |
* 강의일시 : 2022년 12/10(토) ~ 12/26(월), 총 14회 |
강좌특징 |
1. 수험 행정학 접근방법의 기본 잡기 1) 1단계 : 흐름 이해를 통한 주소 확인 2) 2단계 : 내용 정리와 사례 적용을 통한 블록 완성 3) 3단계 : 답안 작성을 통한 문장구성 연습
2. 수험 강의의 기본(강사와 수강생의 협업 찾기) 1) 강사의 방향잡기와 수강생의 노젓기라는 협력을 지향하는 강의 ※ 수험 방향성에 있어 여전히 혼란을 겪고 있는 수강생에 대한 강사의 심층 면담 2) 격일로 진행되는 모의고사 답안에 대한 강사의 개인별 직접 상담 ※ 채점자가 아닌 본 강사가 직접 답안 피드백을 개인별 2회 진행 |
No| | 강의명| | 무료보기| | 자료| | 강의시간 |
---|---|---|---|---|
1회 1강 | 12월 12일 : ①행정학 개관 ②행정환경의 변화(1) | HIGH LOW |
![]() |
98분 |
1회 2강 | 12월 12일 : ①행정환경의 변화(2) ②행정개혁 사례분석(1) |
![]() |
81분 | |
1회 3강 | 12월 12일 : ①행정개혁 사례분석(2) ②관료제에 대한 이해 |
![]() |
73분 | |
2회 1강 | 12월 13일 : 정부관과 분석 틀 |
![]() |
99분 | |
2회 2강 | 12월 13일 : 행정환경 변화에 따른 맥락의 변화 |
![]() |
102분 | |
2회 3강 | 12월 13일 : 행정이 지향하는 이념을 통한 사회적 가치와 공공가치, 그리고 네트워크 | 57분 | ||
3회 1강 | 12월 14일 : 입학사정관제의 국가간 비교연구를 통한 가치해석과 분석틀 |
![]() |
89분 | |
3회 2강 | 12월 14일 : 행위자 중심 제도주의와 원격의료제도(1) |
![]() |
90분 | |
3회 3강 | 12월 14일 : 행위자 중심 제도주의와 원격의료제도(2) | 66분 | ||
4회 1강 | 12월 15일 : 시장의 분석틀과 가치 |
![]() |
90분 | |
4회 2강 | 12월 15일 : 공공서비스와 공급방식 | 97분 | ||
4회 3강 | 12월 15일 : 행정제도와 규제 | 59분 | ||
5회 1강 | 12월 16일 : ①공공정책에 대한 접근 ②갈등관리 (1) |
![]() |
90분 | |
5회 2강 | 12월 16일 : ②갈등관리 (2) |
![]() |
83분 | |
5회 3강 | 12월 16일 : ②갈등관리 (3) | 57분 | ||
6회 1강 | 12월 19일 : 협업행정과 적극행정 |
![]() |
70분 | |
6회 2강 | 12월 19일 : 행정활동의 내부관리 : 개관 (1) |
![]() |
84분 | |
6회 3강 | 12월 19일 : 행정활동의 내부관리 : 개관 (2) | 76분 | ||
7회 1강 | 12월 20일 : 재무행정 : 예산과정에 대한 이해 그리고 분석틀 |
![]() |
74분 | |
7회 2강 | 12월 20일 : 분석틀을 활용한 쟁점 도출 (1) | 104분 | ||
7회 3강 | 12월 20일 : 분석틀을 활용한 쟁점 도출 (2) | 61분 | ||
8회 1강 | 12월 21일 : 1.재정준칙에 대한 이해 2.비용추계 기능과 재정건전성 그리고 시사점 |
![]() |
76분 | |
8회 2강 | 12월 21일 : 1.인사행정론 일반 2.인사관리의 이론적 배경과 논점 (1) |
![]() |
101분 | |
8회 3강 | 12월 21일 : 1.인사관리의 이론적 배경과 논점 (2) 2.주요제도 | 53분 | ||
9회 1강 | 12월 22일 : 우리나라 고위공무원단제도에 대한 이해와 맥락 (요소,성과와 책임,한계 등을 중심으로) |
![]() |
73분 | |
9회 2강 | 12월 22일 : 기출문제에 대한 적용과 쟁점도출 (1) | 75분 | ||
9회 3강 | 12월 22일 : 기출문제에 대한 적용과 쟁점도출 (2) ①제도가 보여주고 있는 시사점 ②수험적 관점에서의 접근과 구문력 | 84분 | ||
10회 1강 | 12월 23일 : ①인적자원 활용과 직위분류제 ②직무성과관리제도와 근무성적평정의 의의 그리고 유형별 관계성 |
![]() |
95분 | |
10회 2강 | 12월 23일 : ①조직이론 ②막스베버(M.Weber)가 제시한 이념형적 모형 : 근대적 관료제 |
![]() |
75분 | |
10회 3강 | 12월 23일 : ①가치에 따른 조직이론 모형의 틀 ②관료제의 역기능 | 65분 | ||
11회 1강 | 12월 26일 : 탈관료제 모형과 제도적 사례 |
![]() |
87분 | |
11회 2강 | 12월 26일 : ①제도적 사례 (2) : 공기업 민영화 ②위원회 |
![]() |
82분 | |
11회 3강 | 12월 26일 : ①거시조직이론 ②조직행동이론 / 종강 | 70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