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유의사항
(필독) |
[수강특전] - 정원준 외교사 역대 기출문제 분석 특강 : 50%할인쿠폰 제공 - 국제정치학을 위한 외교사특강 : 50% 할인쿠폰 제공 |
강좌소개 |
“전체 흐름에 대한 이해를 통한 세부내용의 정리! 주요 교과서와 관련 논문자료를 활용하여 수험이론의 전반을 확인하고 주 2회 복습모의고사를 통한 구체적인 적용연습으로 문제해결능력을 향상할 수 있는 고득점 답안작성을 위한 구체적인 틀을 완성할 수 있는 강의!”
* 강의일시 : 2022년 8/5(금) ~ 9/3(토), 총 26회 |
강좌특징 |
1. 답안작성에 직접 적용할 수 있는 핵심이론의 정리로 전공평가에 대한 문제해결능력 향상 2. 국립외교원 출제경향을 적극 반영한 모의고사를 통해 중요이론을 점검하고, 현안사례해결능력을 향상 3. 고득점을 위한 구체적인 답안작성 연습과 주요 논문에 대한 이해와 적용의 학습으로 국제정치학적안목을 높여 통합논술형 평가에 대한 적응력을 제고 4. 국제정치학 시험 준비에 꼭 필요한 외교사 부분까지 완벽하게 정리함으로써, 차별화된 답안작성의구체적인 틀을 완성할 수 있는 강의 |
복합 위기의 시대,
새로운 국제관계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복잡한 국제정세의 맥을 짚어주는 길잡이!
대학 초년생 정도의 국제정치 비전공자도 이해하기 쉬운 국제정세 입문서를 표방하며, 지은이의 구체적인 강의 경험과 자료를 토대로 2001년 처음 출간된 『국제정세의 이해』는 재쇄와 재판을 거듭하며 대학 강의용으로, 일반인의 국제정세에 대한 지식교양서로 20년 동안 널리 읽혀왔다. 2021년 1학기에 맞추어 발간된 이번 제6개정판의 부제는 ‘복합 위기의 시대, 지구촌의 어젠다와 국제관계’이다. 부제는 출간 시점의 국제정세를 반영해서 정해왔는데 2017년 개정판의 부제도 위기의 시대였다. 그렇다면 이제는 ‘위기’가 일상화된 것인가? 답은 더 암울하다. 위기는 일상화되었으며 심화되고 더 복합적이다.
이번 개정판에는 앞으로의 지구촌의 삶에 영향을 미치게 될 코로나 19와 관련한 장을 추가하지 않을 수 없었다. 코로나 19가 국제정치경제에 미친 영향들을 글로벌 거버넌스, 미·중관계, 다자주의, 글로벌화, 비전통안보의 측면에서 정리해 보았다. 새로운 장을 제외하고 가장 많은 개정이 이루어진 부분은 트럼프 집권 이후 미·중관계 변화와 그로 인한 글로벌, 인도-퍼시픽 지역 그리고 한반도에서의 변화들이다.
국제관계의 핵심적인 쟁점을 중심으로 구성한 국제정세 입문서
미·중관계는 5월 백악관의 「대중국 전략적 접근 보고서(Unite States Strategic Approach to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가 나온 이후 점입가경이더니 이제는 두 나라의 군사적 충돌까지도 우려하게 한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과의 전선을 사방팔방으로 확대시켜 놓았고 이제 어느 한두 가지가 해결된다 해도 다른 전선이 또 다른 가지를 칠 형국이다. 중국몽(中國夢)에 몰두하고 있는 시진핑 주석은 드디어 일국양제(一國兩制)를 포기한 듯하고 홍콩은 이제 더 이상 예전의 홍콩이 아니다. 코로나 19의 혼란 와중에도 중국의 항모와 구축함 등이 남중국해에서 군사작전을 펼치면서 대만을 위협했다. 미국 역시 항모를 동원해 보란 듯이 남중국해에서 ‘항행의 자유’ 작전을 계속하고 있다. 게다가 코로나 19로 인한 확진자와 사망자는 계속 늘어나고 있을 뿐이다. 지구촌의 어려운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다자적 노력들(무역, 보건, 환경 등등) 역시 모두 진통을 겪고 있다. ‘코로나 19 극복을 위한 진정한 글로벌 연대와 조율된 노력이 존재하는가?’라는 물음에 긍정적 답을 할 수 없다.
이번 제6개정판의 부제는 ‘복합 위기의 시대, 지구촌의 어젠다와 국제관계’이다. 2017년 개정판의 부제도 “위기의 시대였는데 그렇다면 이제는 ‘위기’가 일상화된 것인가? 답은 더 암울하다. 위기는 일상화되었으며 심화되고 더 복합적이다. 2017년의 세계에서 위기의 핵심이었던 불평등과 뒤처짐에 대한 불안이 만든 ‘분노와 좌절’이 조금이라도 해결되었다고 생각되지 않는다. 트럼프 당선 이후의 ‘국경 장벽 세우기’ 같은 돌출적 정책은 이제 ‘신냉전’이라는 보다 구조적이고 지구적 파급력을 갖는 위기성 현상으로 발전되었다. 또 지금 당장 눈앞에 있는 새로운 질병과 싸우느라 아무도 그 심각성 자체를 이야기하지 않지만 코로나 19를 만들어낸 지구촌 생태계의 위기는 앞으로도 비슷한 아니 더 심각한 바이러스와 전염병들을 계속 만들어낼 것이다.
최근 국제정세의 주요 현안을 한 권에 담다
코로나 19, 트럼프 집권 이후 미·중관계 변화, 브렉시트, IS, 난민문제, 북핵문제, THAAD……
이번 개정판에는 앞으로의 지구촌의 삶에 영향을 미치게 될 코로나 19와 관련한 장이 추가되었다. 코로나 19가 국제정치경제에 미친 영향들이 글로벌 거버넌스, 미·중관계, 다자주의, 글로벌화, 비전통안보의 측면에서 정리되어 있다. 이 때문에 기존 16장이었던 책이 17장으로 늘어났다. 아마도 다음 개정판에서는 새로운 장을 채우던 내용들이 기존의 다른 장으로 흡수될 수 있을 것이다.
새로운 장을 제외하고 가장 많은 개정이 이루어진 부분은 트럼프 집권 이후 미·중관계 변화와 그로 인한 글로벌, 인도-퍼시픽 지역(동아시아라는 말보다 이제는 인도-퍼시픽이라는 용어를 써야 할 듯하다) 그리고 한반도에서의 변화들을 추가해야 했다. 특히 2020년 5월 이후 미국은 체계적으로 기존의 미·중관계를 중국과의 신냉전으로 끌고 가는 모습이다. 대선에서 당선된 조 바이든(Joe Biden)이 다른 길을 택하리라고 믿고 싶지만 어떤 이유에서든지 시작된 양국 간의 충돌은 그 자체의 생명력을 가지고 진행될 것이기 때문에 가볍게 볼 수가 없다.
이 밖에 추가된 내용들은, 미·중 무역전쟁, 인도-퍼시픽 전략의 진전, 미·중의 통화전쟁(중국의 탈달러화 움직임), 미·중의 에너지 경쟁(원유 위안화 거래, 중·러 에너지 협력), 미국의 INF 조약 탈퇴, 중국 포위를 위한 미국의 전략[경제번영네트워크, G7 확대, 쿼드 플러스(Quad plus) 등], 북·미 정상회담을 포함한 북·미 핵협상, 한미동맹의 변화 등이다. 복합위기의 가장 중요한 부분이고 미·중 당사자들뿐만 아니라 한반도, 동남아(남중국해) 그리고 여타 지역에도 중대한 영향을 미칠 변화들이다. 2017년 개정판 이후 완결된 브렉시트에 관한 내용, 탈글로벌화 논쟁, 다자무역체제의 위기와 대안 모색, 신기술과 인권문제 등도 새롭게 추가되었다. 기존의 내용 중에 부족했다고 생각되었던 국제개발협력 부분은 오너십(ownership), 원조효과성, 개발효과성, PPP 등 파트너십, 개발협력의 혁신 등 주요 어젠다들을 정리해서 보강했다. 국제기구, 글로벌 거버넌스에 대한 비판이론적 관점도 소개했다. 한국의 에너지 안보전략, 미·중 충돌 시대의 한국의 전략 등 중요한 변화에 대응하는 한국의 전략에 대해서도 가능한 한 의견을 제시했다.
제6개정판 서문╷제5개정판 서문╷제4개정판 서문╷제3개정판 서문╷제2개정판 서문╷제1개정판 서문╷초판 서문
01 국제관계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1. 국제정치를 보는 다양한 렌즈: 국제정치의 접근법들╷2. 네 가지 접근법의 적용: 미·중관계와 1990년 걸프 전쟁의 사례 분석
02 국제정치의 역사
1. 근대 국제체제의 등장: 웨스트팔리아체제╷2. 유럽협조체제의 등장╷3. 19세기 동아시아의 국제질서╷4. 제1차 세계대전과 베르사유체제╷5. 20년간의 평화와 제2차 세계대전╷6. 제2차 세계대전의 마무리와 얄타체제╷7. 냉전의 시작╷8. 냉전의 종식╷9. 탈냉전의 시대: 문명충돌?╷10. 탈근대 국제관계?: 9·11 테러와 국제관계의 변화
03 중국의 부상과 국제질서의 변화: G2 시대?
1. 중국의 부상╷2. G2 시대의 개막?╷3. 미·중의 군사적 경쟁╷4. 중국의 신국가전략, 일대일로 프로젝트: 중화주의의 부활?╷5. 미·중 무역전쟁: 패권전쟁의 시작?╷6. 트럼프 정부 이후 미·중관계와 한국의 외교전략
04 글로벌화
1. 글로벌화란 무엇인가?╷2. 글로벌화의 모습들╷3. 글로벌화의 도전: 글로벌화의 정치적 영향╷4. 글로벌화, 상호의존 그리고 국가안보╷5. 글로벌화는 역전될 것인가?: 코로나 19와 글로벌화의 미래
05 지역주의와 지역통합
I. 지역주의
1. 지역주의란 무엇인가?╷2. 지역주의의 확산 요인╷3. 글로벌화와 지역주의: 갈등적인가 아니면 보완적인가?╷4. 지역협력 사례
II. 지역통합: EU의 사례
1. 지역통합에 대한 이론적 설명╷2. 유럽통합의 역사╷3. 화폐통합: 유럽경제통합의 완성╷4. EU의 조직 및 기구╷5. EU와 미국╷6. 유럽과 북대서양조약기구╷7. EU의 확대와 제도화: 리스본 조약을 향한 여정╷8. 유럽통합의 위기: 유로존 위기와 브렉시트
06 국제정치와 안보
1. 안보란 무엇인가?╷2. 안보 개념의 변화╷3. 어떻게 안보를 얻을 수 있는가?: 평화를 위한 처방╷4. 군축과 군비통제
07 핵무기와 국제정치
1. 핵무기와 국제정치: 핵이 평화를 가져오는가?╷2. 핵 억지╷3. 핵 확산: 왜 핵은 확산되는가?╷4. 핵 비확산을 위한 노력╷5. 한국의 핵개발╷6. 북한의 핵개발╷7. 한국의 핵 무장 논란
08 동아시아 국제정치
1. 동아시아의 특수성╷2. 동아시아의 부상╷3. 일본의 보통국가화╷4. 중·일 갈등: 영토분쟁과 영향력권 경쟁╷5. 남중국해 문제╷6. 미국의 동아시아 안보전략: 탈냉전부터 트럼프 정부까지╷7. 미국의 동맹전략 변화와 한미동맹╷8. 동북아시아에서의 다자안보협력
09 국제정치와 글로벌 거버넌스: 비국가행위자 그리고 UN
I.국제정치와 비국가행위자의 등장
1. 비국가행위자의 등장 배경╷2. 비국가행위자의 종류╷3. 국제기구╷4. 국제비정부기구의 역할╷5. 테러집단╷6. 초국적 기업
II.UN: 변화와 개혁
1. UN의 기원╷2. UN의 창설╷3. UN의 조직 및 구성╷4. UN의 문제점과 개혁╷5. UN의 새로운 역할: 글로벌 거버넌스와 UN╷6. UN과 한국
10 외교와 대외정책
I.외교
1. 외교란 무엇인가?╷2. 외교의 자원╷3. 외교와 협상╷4. 외교 형태의 변화
II.대외정책
1. 대외정책 결정요인╷2. 대외정책 결정과정 모델╷3. 대외정책과 국내정치
11 환경문제와 국제정치
1. 환경문제의 성격╷2.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적 노력╷3. 환경문제와 남북문제 그리고 국가주권문제╷4. 환경문제의 실제: 오존층 파괴와 지구 온난화
12 인권과 국제정치
1. 인권을 위한 국제적 노력과 성과╷2. 국제 인권문제의 복잡성╷3. 국제 인권문제의 새로운 추세╷4. 인권 증진을 위한 한국의 다자외교
13 지구촌의 빈곤문제와 국제개발협력
1. 남북문제의 전개╷2. 무엇이 문제인가?: 남북의 상반된 인식╷3. 제3세계의 전략: 신국제경제질서의 요구╷4. 선진국의 노력: 국제개발협력과 공적개발원조╷5. 남북문제의 현재: 제3세계주의의 종말과 새로운 남북갈등╷6. UN에서의 개발협력: MDGs와 SDGs╷7. 국제개발협력의 주요 어젠다╷8. 한국의 국제개발협력 정책: 기여외교와 ODA
14 국제무역질서의 전개와 변화
1. 전후 국제무역질서의 확립╷2. GATT체제의 탄생╷3. GATT의 성과와 위기╷4. WTO체제의 출범과 활동╷5. WTO의 과제들╷6. 도하개발어젠다와 WTO의 미래
15 국제통화·금융체제의 전개와 변화
1. 국제통화체제의 중요성╷2. 국제통화체제의 역사적 전개╷3. 브레턴우즈체제의 위기와 몰락╷4. 새로운 세계통화질서의 모색╷5. 국제금융체제의 개혁╷6. 아시아 경제위기와 IMF╷7. 미국발 금융위기와 새로운 국제금융 거버넌스의 모색╷8. 탈달러화 움직임과 전망
16 에너지와 국제정치
1. 왜 에너지는 국제정치의 중요한 요소인가?╷2. 셰일 에너지 혁명과 국제정치적 영향╷3. 미·중관계와 에너지╷4. 한국의 에너지 안보
17 코로나 19와 국제정세: 이슈와 전망
1. 국제체제의 리더십 문제: G0 현상의 심화?╷2. 미·중 간의 전략적 경쟁의 심화와 전선 확대╷3. 탈글로벌화? 국가의 귀환?╷4. 다자주의의 위기?╷5. 비전통안보와 보건안보의 중요성
No| | 강의명| | 무료보기| | 자료| | 강의시간 |
---|---|---|---|---|
1회 1강 | 08월 05일 : 국제정치학 패러다임 체계 | HIGH LOW | 95분 | |
1회 2강 | 08월 05일 : 고전적 현실주의 | 78분 | ||
1회 3강 | 08월 05일 : 세력전이이론 | 46분 | ||
2회 1강 | 08월 06일 : 신현실주의 | 93분 | ||
2회 2강 | 08월 06일 : 현실주의 | 42분 | ||
2회 3강 | 08월 06일 : 현실주의 과정 | 71분 | ||
3회 1강 | 08월 08일 : 자유주의시장 | 85분 | ||
3회 2강 | 08월 08일 : 현실주의 | 63분 | ||
3회 3강 | 08월 08일 : 구성주의 | 74분 | ||
4회 1강 | 08월 09일 : 공부에 대해서 (1) |
![]() |
91분 | |
4회 2강 | 08월 09일 : 공부에 대해서 (2) | 77분 | ||
5회 1강 | 08월 10일 : 나폴레옹 전쟁(1) |
![]() |
107분 | |
5회 2강 | 08월 10일 : 나폴레옹 전쟁(2), 1차대전 | 83분 | ||
5회 3강 | 08월 10일 : 1,2차세계대전 | 46분 | ||
6회 1강 | 08월 11일 : 안보딜레마 (1) | 90분 | ||
6회 2강 | 08월 11일 : 안보딜레마 (2) | 86분 | ||
6회 3강 | 08월 11일 : 무정부상태에 의한 논쟁 | 59분 | ||
7회 1강 | 08월 12일 : 사담 |
![]() |
108분 | |
7회 2강 | 08월 12일 : 히틀러 / 플라이타이아이전투 | 67분 | ||
8회 1강 | 08월 13일 : 월트의 위협 균형이론 p.124 |
![]() |
90분 | |
8회 2강 | 08월 13일 : 동맹의 본질과 세력균형요인 p.129 | 95분 | ||
8회 3강 | 08월 13일 : 왈트이론과 위협개념에 대한 반론 p.133 | 30분 | ||
9회 1강 | 08월 15일 : 스웰러 이익균형론 |
![]() |
102분 | |
9회 2강 | 08월 15일 : 고전적현실주의 | 80분 | ||
9회 3강 | 08월 15일 : 세력균형 동맹 | 45분 | ||
10회 1강 | 08월 16일 : 스웰러 이익균형론 |
![]() |
89분 | |
10회 2강 | 08월 16일 : 미어샤이머 공격적 현실주의 | 97분 | ||
11회 1강 | 08월 17일 : 신현실주의의 비판적 고찰 |
![]() |
103분 | |
11회 2강 | 08월 17일 : 월츠의 환영 | 59분 | ||
11회 3강 | 08월 17일 : 미국 주도의 자유주의 국제질서 | 71분 | ||
12회 1강 | 08월 18일 : 미국주도의 자유주의 국제질서(1) |
![]() |
102분 | |
12회 2강 | 08월 18일 : 미국주도의 자유주의 국제질서(2) | 79분 | ||
12회 3강 | 08월 18일 : 투키디데스의 함정에서 벗어나기 | 49분 | ||
13회 1강 | 08월 19일 : 투키디데스의 이중함정 (1) |
![]() |
84분 | |
13회 2강 | 08월 19일 : 투키디데스의 이중함정 (2) | 85분 | ||
14회 1강 | 08월 20일 : 답안지 작성 방법론 |
![]() |
85분 | |
14회 2강 | 08월 20일 : 세력 전이 이론 | 58분 | ||
14회 3강 | 08월 20일 : 패권 안정론 | 74분 | ||
15회 1강 | 08월 22일 : 탈 냉전기 미국의 패권전략 ① |
![]() |
108분 | |
15회 2강 | 08월 22일 : 탈 냉전기 미국의 패권전략 ② | 70분 | ||
15회 3강 | 08월 22일 : 일본의 보통국가론과 H&S system | 53분 | ||
16회 1강 | 08월 23일 : 5회 모의고사에 대하여 |
![]() |
76분 | |
16회 2강 | 08월 23일 : 중국의 부상과 국제질서의 변화 | 104분 | ||
17회 1강 | 08월 24일 : 미국의 일방주의 외교 |
![]() |
104분 | |
17회 2강 | 08월 24일 : Rebalancing to asia | 78분 | ||
17회 3강 | 08월 24일 : 인도 퍼시픽 전략 | 40분 | ||
18회 1강 | 08월 25일 : 분단과 미중경쟁 |
![]() |
102분 | |
18회 2강 | 08월 25일 : 미중전략 경쟁의 진화 ① | 74분 | ||
18회 3강 | 08월 25일 : 미중전략 경쟁의 진화 ② | 54분 | ||
19회 1강 | 08월 26일 : 민주평화론 |
![]() |
118분 | |
19회 2강 | 08월 26일 : 민주주의 | 61분 | ||
20회 1강 | 08월 27일 : 임마누엘 칸트 |
![]() |
79분 | |
20회 2강 | 08월 27일 : 영구평화론 |
![]() |
66분 | |
20회 3강 | 08월 27일 : 6회 강평 | 64분 | ||
21회 1강 | 08월 29일 : 민족주의 |
![]() |
103분 | |
21회 2강 | 08월 29일 : 잭 스나이더 - 민주주의 평화 | 80분 | ||
21회 3강 | 08월 29일 : 잭 스나이더 - 민주화와 민족주의 | 42분 | ||
22회 1강 | 08월 30일 : 민주주의와 대외팽창 |
![]() |
87분 | |
22회 2강 | 08월 30일 : 비스마르크와 발전국가 | 76분 | ||
23회 1강 | 08월 31일 : 코헤인 |
![]() |
84분 | |
23회 2강 | 08월 31일 : 협력의 장애물과 국제제도 | 74분 | ||
23회 3강 | 08월 31일 : 신자유제도주의 | 62분 | ||
24회 1강 | 09월 01일 : 국제협력을 결정하는 상황 |
![]() |
90분 | |
24회 2강 | 09월 01일 : 국제협력에 영향을 주는 전략 | 70분 | ||
24회 3강 | 09월 01일 : 국제협력과 실패 | 48분 | ||
25회 1강 | 09월 02일 : 고정환율제도 |
![]() |
64분 | |
25회 2강 | 09월 02일 : 3위 불일치 | 44분 | ||
25회 3강 | 09월 02일 : 미국발 금융위기와 외환위기 | 47분 | ||
26회 1강 | 09월 03일 : 브레튼우즈체제 |
![]() |
63분 | |
26회 2강 | 09월 03일 : 레이건행정부와 네오콜 | 52분 | ||
26회 3강 | 09월 03일 : 플라자합의 | 59분 | ||
27회 1강 | 09월 05일 : 제도적 협력의 경로 |
![]() |
89분 | |
27회 2강 | 09월 05일 : 경제통합 5단계 | 81분 | ||
27회 3강 | 09월 05일 : CMIM | 49분 | ||
28회 1강 | 09월 06일 : 구성주의 |
![]() |
92분 | |
28회 2강 | 09월 06일 : 미국과 중국의 관념 | 65분 | ||
28회 3강 | 09월 06일 : 민족주의 | 25분 | ||
29회 1강 | 09월 07일 : 정의란 무엇인가 |
![]() |
81분 | |
29회 2강 | 09월 07일 : 안보학과 구성주의 | 57분 | ||
29회 3강 | 09월 07일 : 미국 대외 정책의 구성주의적 해석 | 57분 | ||
30회 1강 | 09월 08일 : 양면게임이론 |
![]() |
82분 | |
30회 2강 | 09월 08일 : 협상전략 | 52분 | ||
30회 3강 | 09월 08일 : 사드배치협상 / 종강 | 31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