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소개 |
기출분석을 통한 유형별 이론의 정확한 학습과 문제적용 연습이 병행되는 입문자를 위한 필수강의!
* 강의일시 : 2020년 8/17(월) ~ 9/5(토), 총 18회(15회+3회 무료) |
강좌특징 |
1. 2020년의 출제트렌드를 반영한 기본강의의 최신판! 2. 2020년에 한층 업그레이드된 최신개정판 기본서와 함께 하는 강의 3. 언어와 논리를 단 한번에! ONE STOP 강의 4. 기계적 풀이와 반복적인 문제 해설에 그치는 강의는 NO! 5. 기초부터 최고난도의 문제까지 누구나 함께 할 수 있는 강의 6. 이론을 넘어서는 실전전략까지 제시하는 실전용 스킬 강의 |
✔ 이 책의 특징
합격하는 언어논리 기본서 7판을 출간합니다.
올해 PSAT은 유래를 찾아볼 수 없는 여러 가지 변화를 겪었고, 또한 겪고 있습니다. 일명 코로나 사태라는 전대미문의 사회적 상황에서 올해 PSAT은 치러졌습니다. 일정이 바뀌었고, 시험 내적인 면에서도 약간의 변화를 보이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2017년 이후 지향해 온 방향에서 큰 변화가 있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오히려 7급 공무원 선발시험으로 PSAT 도입이 확정된 만큼, 이러한 방향성에서 언어논리 시험은 현재 이상으로 어려워질 가능성도 매우 커졌습니다.
그런 출제경향의 변화에 발맞춰, 새롭게 언어논리 기본서를 기획⋅출간하였습니다. 현재의 출제 방향을 반영하지 못하는 과거의 내용들은 과감히 삭제하고, 실제 당락을 결정한다고 할 수 있는 주장과 관련한 활용과 판단 영역을 크게 확충하였습니다. 단순히 기출문제를 실어놓고 해설하는 것을 넘어서 실질적인 능력의 향상을 위해서 여러분에게 끊임없이 다양한 질문을 던지고 생각하는 기회도 마련했습니다. 또한 이에 그치지 않고, 현실적으로 어떻게 공부해야 하고, 시험을 준비해야 하는지 최대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최선의 노력을 다했습니다.
언어논리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언어 적성 시험으로 발돋움하고 있습니다.
PSAT이라는 이름의 시험이 공직자를 선발하는 시험으로 정식 채택된 지도 벌써 15년이 넘었습니다. 그동안 PSAT 언어논리는 출제경향에 있어 여러 번의 변화 과정을 겪어 왔습니다. 물론 그러한 변화에도 불구하고 언어논리가 가고자 하는 방향은 분명했습니다. 국가의 중대사를 결정하고 집행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인재를 선발하는 시험인 만큼 그 위상에 걸맞은 수준 높은 시험으로 발전해왔습니다.
수많은 시험에서 다양한 형태의 언어 시험이 도입되었지만, 최근의 PSAT 언어논리는 그 중에서도 가장 돋보이는 시험으로 발돋움하고 있습니다. 공직자라면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할 텍스트 해석 능력에서부터 주어진 자료들을 활용하여 올바른 결론을 도출하는 추론 능력, 다양한 주장을 이해하고 그것을 응용하거나 주장 간의 관계를 판단하는 능력까지 광범위한 영역을 테스트할 수 있는 명실상부 적성시험을 대표하는 시험이 된 것입니다.
그러나 시험을 준비하는 여러분의 입장에서 보면 이러한 변화는 분명 부담으로 다가올 것입니다. 왜냐하면 이전의 다른 시험에서는 접해보지 못했던 다양한 문제유형들이 포함되어 있는 시험이 되었기 때문입니다. 여러분께서 언어논리라는 과목을 처음 접하게 되면 대학수학능력시험의 국어 영역과 유사한 부분이 있기 때문에 익숙하다고 느낄 수도 있고, 따라서 심리적으로 가장 편안하게 생각되는 과목이 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2017년 이후 언어논리 시험은 다른 언어 시험과는 차별화되는 고차원적인 사고능력을 검증하고자 하는 경향이 더욱 강해지고 있습니다. 그 결과, 실제 시험을 치러본 많은 분들이 가장 어려운 과목으로 꼽는 것에 주저하지 않게 된 것입니다.
여러분, 이제 언어논리는 짧은 기간의 수험 기간으로는 합격을 위한 충분한 점수를 보장받을 수 없는 과목이 되었습니다. 최근의 기출문제를 통해 이러한 생각들을 어렴풋하게나마 하게 되었다면 바로 지금 준비를 시작하셔야 합니다. 심리적으로 느껴지는 편안함이나 익숙함 때문에 언어논리 공부를 시작하는 시기를 늦추게 된다면 같이 시험을 준비하는 분들에 비해 한 발 뒤쳐지는 결과만을 가져오게 될 뿐입니다. 최근의 출제 경향과 같이 언어논리가 점점 어려워지고 있는 것은 출제기관에서 요구하는 수준의 독해 능력과 사고 능력이 단기간에 완성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제 언어논리는 몇 번의 모의고사 경험과 몇 해의 기출문제 풀이로는 결코 합격이라는 선을 넘기가 쉽지 않은 시험이 되었습니다.
합격하는 언어논리 기본서 7판을 출간합니다.
올해 PSAT은 유래를 찾아볼 수 없는 여러 가지 변화를 겪었고, 또한 겪고 있습니다. 일명 코로나 사태라는 전대미문의 사회적 상황에서 올해 PSAT은 치러졌습니다. 일정이 바뀌었고, 시험 내적인 면에서도 약간의 변화를 보이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2017년 이후 지향해 온 방향에서 큰 변화가 있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오히려 7급 공무원 선발시험으로 PSAT 도입이 확정된 만큼, 이러한 방향성에서 언어논리 시험은 현재 이상으로 어려워질 가능성도 매우 커졌습니다.
그런 출제경향의 변화에 발맞춰, 새롭게 언어논리 기본서를 기획⋅출간하였습니다. 현재의 출제 방향을 반영하지 못하는 과거의 내용들은 과감히 삭제하고, 실제 당락을 결정한다고 할 수 있는 주장과 관련한 활용과 판단 영역을 크게 확충하였습니다. 단순히 기출문제를 실어놓고 해설하는 것을 넘어서 실질적인 능력의 향상을 위해서 여러분에게 끊임없이 다양한 질문을 던지고 생각하는 기회도 마련했습니다. 또한 이에 그치지 않고, 현실적으로 어떻게 공부해야 하고, 시험을 준비해야 하는지 최대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최선의 노력을 다했습니다.
현장에서 시험을 준비하는 많은 분들을 만나다보면, 다음과 같은 질문을 종종 받곤 합니다. “공부를 하면 분명 언어논리의 점수가 올라갈 수 있습니까?” 제 대답은 “그렇습니다.”입니다. 단, 여러분이 의지를 가지고 올바른 방법으로 충분한 시간과 노력을 투자하실 경우에 그렇다고 말씀드리겠습니다. 이 책은 제가 다년간의 강의과정과 연구를 통해 시험에 필요한 정수(精髓)만을 담았습니다. 부디 적극 활용하시고, 궁금증이 해소될 때까지 궁구(窮究)하여서 여러분이 바라는 바의 성과를 이루시길 간절하게 바라겠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이 책이 출간되기까지 도움을 주신 많은 분들이 계십니다. 최적의 환경에서 강의와 집필에만 몰두할 수 있도록 도와주신 송주호 대표님, 김지훈 원장님, 김용민 차장님, 이지훈 대리님 외 여러 윌비스 한림법학원 식구들에게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또한 저의 이 졸저(拙著)가 온전한 책의 형태로 출간될 수 있도록 물심양면으로 노력해주신 원성일 실장님, 권윤주 과장님, 김시원 사원님의 노고에도 감사하다는 말씀을 꼭 드리고 싶습니다.
제가 고민으로 힘들어할 때마다 현명한 방안을 제시해주는 핵심 브레인이자 친구인 박준범 강사님께도 감사하다는 말씀을 드리고 싶습니다. 탄탄대로(坦坦大路)! 지금보다도 더 큰 그의 성공과 성취를 기원합니다. 또한 항상 저를 챙겨주고 세심하게 신경써주는 저의 든든한 서포터이자 동료강사인 석치수 강사님께도 진심으로 고마움을 전합니다. 그가 바라는 바대로 SWAG 넘치고 FLEX한 삶을 살게 되기를 바랍니다. 그리고 제가 미처 신경 쓰지 못한 부분도 체크해주고 아이디어도 제공해주는 대놓고 실력자인 하혜련씨에게도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그녀에게 리즈 시절이 다가오고 있음을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파이팅!!
심적으로 저의 굳건한 버팀목이 되어주셨던 아버지와 어머니께도 무한한 존경과 감사를 드립니다. 아버지! 얼른 쾌차하세요.
항상 저희 가족에 대한 걱정과 함께 여러 가지로 너무 큰 도움을 받고 있습니다. 장인, 장모님 정말 감사합니다.
마지막으로 제 삶의 원동력이자 기쁨인 제 아내 현희씨, 그리고 서하, 찬유 두 아이에게 정말 고맙다는 말을 마음을 다해 전하고 싶습니다.
여러분에게도 합격이라는 결과가 꼭 기다리고 있을 것입니다.
여러분의 건승을 기원합니다.
오동나무 들마을에서
저자 이나 우 씀
Chapter01 PSAT 언어논리 4
제1절 PSAT이란? 4
제2절 언어논리란? 6
Chapter02 출제경향 진단과 학습계획짜기 21
제1절 2020년 언어논리 총평 21
제2절 학습플랜 세우기 23
Chapter01 언어논리 학습법 28
제1절 언어논리 어떻게 공부할 것인가? 28
제2절 언어논리 무엇을 공부할 것인가? 30
제3절 나만의 ‘언어논리 스킬북’을 만들자! 33
Chapter02 진단편 35
제1절 진단편 I:지문읽기 35
제2절 진단편 II:문제풀이과정 42
Chapter01 시험을 위한 독해(讀解)란 무엇인가? 68
Chapter02 독해연습 시작하기 82
제1절 텍스트 선택 83
제2절 함께 하는 독해연습 85
제3절 혼자 하는 독해연습 86
Chapter03 나우! 독해연습법 88
제1절 나우! 1단계:속독(速讀) 89
제2절 나우! 2단계:정독(精讀) 92
제3절 최후의 방법 – 옮겨 쓰기! 94
제4절 독해연습 성공하기 99
Chapter04 나우! 독해연습법의 실제 100
Chapter01 관통의 법칙 I:정보의 연결 132
Chapter02 관통의 법칙 II:정보 간의 관계 142
Chapter01 일치추론편 161
제1절 일치부합형 161
제2절 일반추론형 180
제3절 응용추론형 220
Chapter02 핵심도출형 236
Chapter03 빈칸채우기형 250
Chapter04 심화:과학과 철학 272
Chapter01 정언명제 302
제1절 정언명제 304
제2절 대당사각형 306
Chapter02 합성명제 318
제1절 연언명제와 선언명제 319
제2절 조건명제 321
제3절 대치규칙과 명제들 간의 관계 322
Chapter03 연역논증과 논증의 타당성 333
제1절 타당한 논증과 부당한 논증 335
제2절 논증의 타당성 검토, 확인 366
Chapter04 인과론 379
제1절 필요충분조건 379
제2절 기타인과론 396
제3절 인과관계에 관한 오류 397
Chapter05 귀납논증 409
제1절 귀납적 일반화 410
제2절 유비추리 410
제3절 통계적 삼단논증 411
제4절 가설추론 416
Chapter06 비형식적 오류 432
Chapter01 논리논증 심화문제 452
제1절 논증구조도 482
제2절 논리논증 응용문제 492
제3절 논리논증 전제가정형 문제 514
제4절 논리논증 QUIZ 문제 536
Chapter02 논리논증의 활용 570
제1절 주장 간의 관계 평가/판단 570
제2절 주장과 논증에 대한 반박 582
제3절 주장의 강화 그리고 약화 612
Chapter01 사례찾기형 670
No| | 강의명| | 무료보기| | 자료| | 강의시간 |
---|---|---|---|---|
1회 1강 | 08월 17일 : 교재 소개 | HIGH LOW | 92분 | |
1회 2강 | 08월 17일 : p.28 |
![]() |
95분 | |
2회 1강 | 08월 18일 : 워크북 p.10 |
![]() |
95분 | |
2회 2강 | 08월 18일 : 2단계(정독 이해력 제고) | 96분 | ||
3회 1강 | 08월 20일 : p.130 정보의연결 기p134, p.398 |
![]() |
82분 | |
3회 2강 | 08월 20일 : 기p.146, p.152, p.154, p.128, 워크북 p.16, p.42 | 95분 | ||
4회 1강 | 08월 21일 : 스킬북 |
![]() |
90분 | |
4회 2강 | 08월 21일 : 워크북 p.34 |
![]() |
87분 | |
5회 1강 | 08월 22일 : 워크북p.51 p.58 p.200 |
![]() |
96분 | |
5회 2강 | 08월 22일 : p.206 p.212 p.214 p.186 | 88분 | ||
6회 1강 | 08월 24일 : 응용추론 |
![]() |
92분 | |
6회 2강 | 08월 24일 : 다문형 문제 | 85분 | ||
7회 1강 | 08월 25일 : 핵심 도출형 |
![]() |
89분 | |
7회 2강 | 08월 25일 : 여담 | 106분 | ||
8회 1강 | 08월 26일 : 자료 p.4, 논리논증 |
![]() |
89분 | |
8회 2강 | 08월 26일 : p.314 |
![]() |
86분 | |
9회 1강 | 08월 27일 : 선언 명제 |
![]() |
92분 | |
9회 2강 | 08월 27일 : 연역 논증 p.330 | 85분 | ||
10회 1강 | 08월 28일 : 기352p, 354p, 358p, 기362p, 워크북103p |
![]() |
92분 | |
10회 2강 | 08월 28일 : 368p, 370p ,376p, 379p | 82분 | ||
11회 1강 | 08월 29일 : p.98 |
![]() |
94분 | |
11회 2강 | 08월 29일 : p.394 | 81분 | ||
12회 1강 | 08월 31일 : 가설추론 424p. 418p ~ |
![]() |
88분 | |
12회 2강 | 08월 31일 : 비형식적오류 456p, 468p | 93분 | ||
13회 1강 | 09월 01일 : 워크북 p.111 |
![]() |
97분 | |
13회 2강 | 09월 01일 : p.490 | 83분 | ||
14회 1강 | 09월 02일 : 14회차 p.504 |
![]() |
89분 | |
14회 2강 | 09월 02일 : p.520 | 90분 | ||
15회 1강 | 09월 03일 : 보편성 |
![]() |
89분 | |
15회 2강 | 09월 03일 : p.550 | 79분 | ||
16회 1강 | 09월 04일 : 137p, 526p, 570p ~ |
![]() |
92분 | |
16회 2강 | 09월 04일 : 576p 580p, 586p, 587p ~ | 90분 | ||
17회 1강 | 09월 05일 : p.574 |
![]() |
89분 | |
17회 2강 | 09월 05일 : p.618 | 94분 | ||
18회 1강 | 09월 06일 : p.636 |
![]() |
94분 | |
18회 2강 | 09월 06일 : p.658 / 종강 | 109분 | ||
19회 1강 | 09월 07일 : 스터디 1회차 | 94분 | ||
19회 2강 | 09월 07일 : 스터디 2회차 | 88분 | ||
20회 1강 | 09월 07일 : 3회차 p.22.71 | 94분 | ||
20회 2강 | 09월 07일 : 4회차 p.48 / 종강 | 88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