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유의사항
(필독) |
[수강특전] - 2024 경제학 예비순환 복습과 1순환 예습용 요약강의(예비순환 必 복습 주요이론 3선_거시) 동영상 무료제공 |
강좌소개 |
“트리니티 경제학(6판)과 연습책(5판)으로 진행하며, 수업과 함께 반드시 학습해야 할 기출문제들과 중요 연습문제들을 풀이합니다.”
* 강의일시 : 2024년 7월, 총 13회(거시 10회, 국경 3회) |
강좌특징 |
[강의목표] : 기출문제를 풀어봅시다! ‒ 이번 1순환 강의는 기본이론 강의(예비순환)와 본격적인 문제풀이 강의(2순환)의 징검다리 역할을 하는 매우 중요한 강의입니다. 3순환 강의와 더불어 가장 중요한 시기의 강의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예비순환 강의를 통해 경제학에 대한 접근성을 확보한 수강생들이 자신의 지식을 문제에 적용하고 응용함으로써 해결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강의입니다. ‒ 트리니티 (제6판)은 이론중심의 수험서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각 주제별로 대표적인 기출문제들을 서두에 배치함으로써 이론 학습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습니다. ‒ 최근의 각종 고등고시 경제학 문제에서 확인되었듯이 효율성만을 따져가며 공부한 경우에는 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는 문제들이 다수 등장하였습니다. ‘여기까지만, 이 정도만’은 있을 수 없습니다. 각자가 가지고 있는 그릇에 담을 수 있는 최대한을 담아가면서 공부해야 합니다. ‒ 중요한 것은‘이해’입니다. 이해 없는 정리는 금방 증발합니다. 어렵게 느껴지더라도, 파고들어 이해하면 그 이후에는 수월해집니다. ‒ 경제학을 구성하는 각종 원리와 쟁점을 이해하고, 그와 관련된 예제 및 기출문제들을 확인함으로써 자신이 공부하는 내용이 어떤 쓸모가 있는지를 느끼게 하는 강의가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강의특징] 1. 경제학의 주요 주제들을 보다 정교하게 이해하여 전체적인 맥락과 구체적인 내용을 균형 있게 학습하고, 정확한 기출문제 풀이를 통해 문제에 바로 적용하여 해결할 수 있도록 강의를 구성하였습니다. 2.‘예비순환 必 복습 주요이론 7선’를 활용하여 주요이론에 대한 리마인드 및 1순환에서 진행되는 심화 내용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3. 최신의 기출문제 풀이와 함께 트리니티 경제학을 통한 주요이론의 확실한 정리로 경제학 단권화의 초석을 다질 수 있습니다. 4. 효과적으로 예습하고 복습할 수 있도록 연습책 문제를 선별하여 알려드립니다. 5. 고득점 답안작성에 필요한 관련 이론과 모형을 성공적으로 체화시킬 수 있는 강의입니다. 6. 본격적으로 주요 기출문제들을 해결하는 강의입니다. 따라서 1순환 학습을 통해 문제해결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습니다. 7. 강사가 직접 수강생들의 답안을 참고하여 수강생의 입장에서 답안작성 시 어려워하는 부분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답안작성 관련 중요한 사항은 수업시간에 언급하도록 하겠습니다. 즉, 이론에 대한 강의뿐만 아니라 답안작성과 관련된 구체적인 조언도 지속적으로 진행합니다. |
✔이 책의 특징
1. 기존의 설명과 표현 중 자연스럽지 못하거나 전달이 명확하지 않은 부분을 수정하고 보완하였다.
2. 이론의 각 주제별로 수록된 기존 예제들을 삭제하여 이론 중심의 수험서가 되도록 하였다.
3. 이론의 각 주제별로 서두에 대표적 기출문제를 배치함으로써 이론 학습의 방향성을 잃지 않도록 하였다. 또한 각 기출문제의 해설을 별도로 모아두어 학습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했다.
4. 기존의 이론 주제 중에서 출제 빈도가 낮은 내용들은 개정 과정에서 삭제하였다. 이런 부분들은 수업을 통해 보충할 예정이다.
5. 국제경제학 분야를 국제무역론과 국제금융론으로 분리하여 각각 미시경제학과 거시경제학에 포함시켰다.
6. 이론의 설명만으로는 학습하기 어려운 내용들은 예제를 통해 학습할 수 있다고 생각하여 제5판에 관련 중요 예제들을 함께 수록하였는데, 이것이 수험생들에게 막연한 분량 부담을 준 듯하다. 이번 개정작업에서 예제들을 덜어내어 책을 가볍게 만들고자 했으며, 학습에 필요한 예제들은 수업용 부교재 형태로 제공할 예정이다.
제6판
1
기존의 설명과 표현 중 자연스럽지 못하거나 전달이 명확하지 않은 부분을 수정하고 보완하였다.
2
이론의 각 주제별로 수록된 예제들을 삭제하여 이론 중심의 수험서가 되도록 하였다.
3
이론의 각 주제별로 서두에 대표적 기출문제를 배치함으로써 이론 학습의 방향성을 잃지 않도록 하였다. 또한 각 기출문제의 해설을 별도로 모아두어 학습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했다.
4
기존의 이론 주제 중에서 출제 빈도가 낮은 내용들은 개정 과정에서 삭제하였다. 이런 부분들은 수업을 통해 보충할 예정이다.
5
국제경제학 분야를 국제무역론과 국제금융론으로 분리하여 각각 미시경제학과 거시경제학에 포함시켰다.
6
이론의 설명만으로는 학습하기 어려운 내용들은 예제를 통해 학습할 수 있다고 생각하여 제5판에 관련 중요 예제들을 함께 수록하였는데, 이것이 수험생들에게 막연한 분량 부담을 준 듯하다. 이번 개정작업에서 예제들을 덜어내어 책을 가볍게 만들고자 했으며, 학습에 필요한 예제들은 수업용 부교재 형태로 제공할 예정이다.
2022년 6월
편저자 황종휴
제0 1장 거시경제학의 기초 2
1-1 거시경제학의 기초 ·································································································· 3
1-2 장기와 단기의 비교 ································································································· 6
1-3 실질변수와 명목변수의 비교 ·················································································· 7
1-4 고전학파와 케인즈학파의 비교 ··············································································· 9
1-5 거시경제학에서 등장하는 3가지 역설 ································································· 23
제 1부 거시경제학의 기본모형 27
제02장 IS-LM 모형(총수요 분석) 28
2-1 IS곡선 ···················································································································· 29
2-2 LM곡선 ·················································································································· 33
2-3 IS-LM 동시균형 ··································································································· 38
2-4 인플레이션 기대를 고려한 IS-LM 모형 ····························································· 40
제03장 AS-AD 균형 42
3-1 AD곡선의 도출 ····································································································· 43
3-2 AS곡선의 도출 ····································································································· 46
3-3 단기적 균형과 장기적 균형 ·················································································· 53
제2부 정책효과의 분석 63
제04장 경제 안정화 정책의 기본 64
4- 1 총수요 관리정책 일반론 ······················································································· 65
4-2 재정정책과 통화정책의 상대적 유효성 ································································ 71
제05장 재정정책(Fiscal Policy) 76
5-1 구축효과 ················································································································· 77
5-2 리카도 대등정리 ···································································································· 79
5-3 재정적자와 정부부채, 재정준칙 ············································································ 84
제06장 통화정책(Monetary Policy) 88
6- 1 통화정책의 수단 ···································································································· 89
6-2 중간목표 논쟁 ········································································································ 90
6-3 정책효과의 전달경로 ····························································································· 93
6-4 물가안정 목표제 ·································································································· 100
6-5 중간목표전략과 정보변수전략 ············································································ 102
6-6 선제적 정책의 필요성 ························································································· 105
6-7 테일러 준칙 ········································································································· 106
6-8 자산시장과 통화정책 ··························································································· 109
6-9 자산시장과 일본의 장기불황 ·············································································· 111
6-10 최적정책의 비일관성 문제 ················································································ 113
제3부 실업과 인플레이션 119
제07장 실업과 실업률 120
7-1 실업의 종류와 개념 ···························································································· 121
7-2 자연실업률 논의 ·································································································· 125
7-3 우리나라의 실업률 통계 ····················································································· 131
제08장 인플레이션 134
8-1 인플레이션 ··········································································································· 135
8-2 인플레이션과 이자율 ··························································································· 139
8-3 인플레이션 조세 ·································································································· 142
제09장 필립스 곡선 144
9- 1 필립스 곡선의 도출 ···························································································· 145
9-2 학파별 필립스 곡선 논의 ··················································································· 147
제4부 거시경제학의 미시적 기초 157
제10장 소비함수 158
10-1 소비함수의 일반론 ···························································································· 159
10-2 생애소득이론 ······································································································ 163
10-3 항상소득이론 ······································································································ 166
10-4 소비의 과잉민감성 및 과잉둔감성 현상 ·························································· 171
10-5 불확실성과 소비 ································································································ 173
제1 1장 투자함수 176
11-1 투자 일반론 ······································································································· 177
11-2 순현재가치법과 내부수익률법 ·········································································· 179
11-3 자본의 사용자비용 모형 ··················································································· 182
11-4 다기간 최적화 원리에 의한 투자이론 ······························································ 185
11-5 토빈의 이론 ····································································································· 187
11-6 불확실성과 투자 ································································································ 189
11-7 신용제약과 투자 ································································································ 191
제12장 노동시장 194
12-1 다기간 최적화에 의한 노동시장 분석 ······························································ 195
12-2 새케인즈학파의 경직성 모형 ············································································ 199
12-3 효율성 임금 모형 ······························································································ 200
12-4 내부자외부자
이론 ··························································································· 203
12-5 암묵적 고용계약 모형 ······················································································· 205
제13장 화폐와 금융 208
13-1 화폐시장의 기초 ································································································ 209
13-2 화폐시장의 균형(단기vs장기) ·········································································· 211
13-3 화폐수량설 ········································································································· 214
13-4 Baumol과 Tobin의 현금재고관리 모형 ······················································ 217
13-5 Tobin의 포트폴리오 모형 ··············································································· 220
13-6 화폐공급의 분석 ································································································ 223
13-7 하이퍼인플레이션과 뱅크런 ·············································································· 226
13-8 통화증가율 변화와 인플레이션 ········································································· 230
13-9 이자율의 만기구조와 수익률 곡선 ··································································· 233
13-10 이자율의 위험구조 ··························································································· 238
제5부 국민경제의 동태적 변화 241
제14장 경기변동이론 242
14- 1 경기변동론 개관 ································································································ 243
14-2 화폐적 경기변동이론 ························································································· 246
14-3 실물적 경기변동이론 ························································································· 248
14-4 RBC의 주요 논쟁사항 ····················································································· 255
14-5 새케인즈학파의 경기변동이론 ·········································································· 259
제1 5장 경제성장이론 262
15-1 경제성장 일반론 ································································································ 263
15-2 솔로우 성장모형 ································································································ 264
15-3 내생적 성장모형 ································································································ 274
제6부 개방거시경제론 283
제16장 국제금융론 284
16- 1 개방경제의 거시적 분석의 기초 ······································································· 285
16-2 환율 변화와 경상수지 ······················································································· 292
16-3 환율결정이론 ······································································································ 295
16-4 IS-LM-BP 모형(먼델-플레밍 모형) ······························································· 301
16-5 국가간 정책효과의 파급과 협조 ······································································· 310
16-6 삼각의 딜레마(불가능성 정리) ········································································· 313
16-7 크루그먼의 DD-AA 모형(일반균형 모형) ······················································ 316
16-8 IS-LM-IRP 모형 ······························································································ 321
16-9 외환시장 개입의 효과 및 한계 ········································································ 323
16-10 자본자유화의 효과 ··························································································· 328
16-11 금융시장에 대한 외국자본 유입 문제 ···························································· 332
16-12 최적통화지역 논의 ··························································································· 336
✔이 책의 특징
1. 난도 기본/중급 문제들과, 최근 10여년간의 경제학 기출문제들(난도 무관)을 정돈하여 연습책 제5판으로 구성하였다. 따라서 연습책은 이제 중급 문제은행의 성격이 되었다. 연습책 거시경제학 제5판은 총 447문제로 구성되었으며, 이 중 기출문제가 93문제이다. 따라서연습용 354문제와 기출 93문제를 포함한다.
2. 난도 심화 연습용 문제들과 난도 심화 기출문제들을 정돈하여 연습책+(plus)를 구성하였다. 연습책+는 연습책 심화 버전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3. 초시생 또는 경제학 문제풀이가 충분하지 못하다고 생각되는 수험생들은 중급 수준의 교재인 연습책을 우선적으로 풀어보기를 추천한다. 재시생 또는 심화 문제들을 학습하고 싶은 수험생들은 연습책을 건너뛰고 연습책+를 풀어보는 것도 좋은 선택이 될 것이다.
4. 이제 연습책은 2순환 수업의 교재가 되고, 연습책+는 3순환 수업의 교재가 된다.
5. 내용이 중복되는 문제들과 지나치게 단순한 문제들은 삭제하였으며, 해설이 어색한 부분들을 가다듬었다. 또한 모든 문제들에 자신의 풀이횟수를 남길 수 있도록 하였으며, 문제를 풀고 난 후 스스로 코멘트를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번 개정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난도 기본/중급 문제들과, 최근 10여년간의 경제학 기출문제들(난도 무관)을 정돈하여 연습책 제5판으로 구성하였다. 따라서 연습책은 이제 중급 문제은행의 성격이 되었다. 연습책 거시경제학 제5판은 총 447문제로 구성되었으며, 이 중 기출문제가 93문제이다. 따라서 연습용 354문제와 기출 93문제를 포함한다.
2. 난도 심화 연습용 문제들과 난도 심화 기출문제들을 정돈하여 연습책+(plus)를 구성하였다. 연습책+는 연습책 심화 버전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3. 초시생 또는 경제학 문제풀이가 충분하지 못하다고 생각되는 수험생들은 중급 수준의 교재인 연습책을 우선적으로 풀어보기를 추천한다. 재시생 또는 심화 문제들을 학습하고 싶은 수험생들은 연습책을 건너뛰고 연습책+를 풀어보는 것도 좋은 선택이 될 것이다.
4. 이제 연습책은 2순환 수업의 교재가 되고, 연습책+는 3순환 수업의 교재가 된다.
5. 내용이 중복되는 문제들과 지나치게 단순한 문제들은 삭제하였으며, 해설이 어색한 부분들을 가다듬었다. 또한 모든 문제들에 자신의 풀이횟수를 남길 수 있도록 하였으며, 문제를 풀고 난 후 스스로 코멘트를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중급용 문제은행인 연습책과 상급용 실전문제집인 연습책+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경제학에서 고득점하기를 바란다.
2023년 10월
편저자 황종휴 강사
1. 공통사항
이 책은 각종 경제학 시험을 준비하는데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많은 수의 문제들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매번 모든 문제들을 다루는 것은 바람직하지도 않고 가능하지도 않다. 시험에 임박한 시기에 미시와 거시, 그리고 국제경제학 분야를 빠른 속도로 리뷰하기 위해 자신이 필요로 하는 문제들을 중심으로 분량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1) 미시편 매뉴얼
문제를 풀 때 모든 문제들을 답안 작성 형식으로 해결하는 것 보다는, 초안을 작성한다는 생각으로 ① 문제에서 요구하는 것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② 해결에 필요한 각종 개념들을 정리하고 ③ 비교적 간단하게 축약된 형식으로 수식, 정답, 그림을 빠르게 그려보며 풀어나가는 것을 추천한다.
요컨대 미시편의 경우 반복적인 회독을 통해 자신이 익숙해진 문제들은 과감하게 넘어가면서, 어렵게 느껴지는 문제나 자신이 생각하기에 의미가 크다고 여겨지는 문제들을 선별해 두는 것이 중요하다.
(2) 거시편 매뉴얼
거시경제학 문제들은 미시경제학 문제들에 비해 빠르게 넘어가기 어려운 문제들이 많다. 즉, 여러 논점들이 서로 다른 형태로 결합되어 있는 문제들이 많기 때문에 미시에 비해 시간이 오래 소요된다. 반면 문제가 요구하는 논점이 유사한 경우 또한 다수이므로 이러한 문제들을 대표문제로 선정하여 분량을 줄여나가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거시경제학 문제들의 상당수가 충격에 의해 각종 변수들이 변화하는 것을 물어보는 문제들이므로, 변수들이 변화하는 이유와 경로를 해설에 제시되어 있는 표현을 중심으로 익혀두면 도움이 될 것이다.
2. 5급 공채/외교관 선발시험/입법고시 초시생을 위한 매뉴얼
처음으로 연습책을 접하는 초시생은 대부분 경제학 2순환 강의를 수강하는 경우일 것이다. 2순환 수업 중 강사가 풀어주는 문제의 수도 상당한 만큼, 이러한 문제들 중심으로 복습에 집중하되 이 과정에서 강사의 설명이나 연습책 표현을 스스로 답안에 현출할 수 있어야 한다는 목표로 임하는 것이 좋다.
수업이 진행되는 동안 연습책의 난도 기본/중급 문제들은 최대한 다 풀어보도록 하는 것이 문제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을 제거하는 것에 큰 도움을 줄 것이다. 만약 이것이 어려운 경우에는 난도 기본/중급 문제들 가운데 별3개 문제들을 선별하여 풀어보기를 권한다.
3. 년차 수험생을 위한 매뉴얼(단, )
(1) PSAT 준비 돌입 이전
난도 심화 문제들을 포함하여 모든 문제들을 풀어보는 것에 도전하고, 단번에 해결되는 문제들은 과감하게 스킵하면서 풀이가 자연스럽지 못한 문제들을 선별하여 기억해두도록 한다. 여러 문제들에서 동일한 내용이 약간씩 변형된 방식으로 표현되고 있으므로 자신의 마음에 드는 표현을 기억하여 답안에 현출할 수 있도록 대비한다.
(2) PSAT 준비기간 중
1차 시험에 대한 각자의 입장이 다른 만큼, 이전에 선별해 둔 문제들 또는 연습책 문제들 가운데 짝수/홀수 문제들을 풀어나가면서 경제학 문제풀이 감각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3) 경제학 3순환 기간 중
3순환 강의에서 사용하는 교재인 연습책+에 포함된 모든 문제들과 강사의 수업내용을 최대한 소화하여 해결하도록 목표를 세우되, 자신이 선별해 둔 연습책 문제들을 추가적으로 풀어나가는 것을 추천한다. 만약 자신이 선별해 둔 문제가 없다면 중요도 별3개 문제들을 중심으로 확인해 나가는 것도 좋다.
(4) 경제학 3순환 이후
자신이 선별해 둔 문제들을 반복적으로 풀고 답안을 작성하면서, 머리에 계속 남겨두어야 할만한 문제들 중심으로 추가적으로 선별을 하여 분량을 줄인다.
4. 기타 금융공기업 등을 준비하는 수험생 매뉴얼
상대적으로 디테일을 요구하는 문제들이 많이 출제된다. 많은 수의 문제들을 제한된 시간내에 풀어낼 것을 요구하는 경우도 많다. 반면 전반적인 풀이과정을 서술할 것을 요구하는 경우는 많지 않다. 따라서 문제에서 요구하는 정답을 순발력 있게 도출해내는 훈련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
연습책이 포함하고 있는 다양한 문제들을 빠른 속도로 반복하여 풀이하고, 연습책+의 심화 문제들을 차분히 꼼꼼하게 풀어보는 방법을 추천한다.
◤Chapter01 거시경제학의 기초 4
1-1 거시경제학의 기초 6
1-2 고전학파와 케인즈학파의 비교 8
◤Chapter02 국민경제의 총수요 분석 14
2-1 IS 곡선 16
2-2 LM 곡선 21
2-3 ISLM 균형 23
2-4 인플레이션 기대를 고려한 ISLM 모형 32
◤Chapter03 AS-AD 균형 34
3-1 AD 곡선의 도출 36
3-2 AS 곡선의 도출 40
3-3 단기적 균형과 장기적 균형 46
◤Chapter04 경제안정화 정책의 분석 56
4-1 총수요관리정책 일반론 58
4-2 재정정책과 통화정책의 상대적 유효성 65
4-3 재정정책의 쟁점구축효과 vs 구입효과 70
4-4 재정정책의 쟁점국공채의 자산성 논쟁 72
4-5 통화정책의 수단 및 특징 76
4-6 통화정책의 쟁점중간목표 논쟁 77
4-7 통화정책의 쟁점정책효과의 전달경로 79
4-8 통화정책의 쟁점물가안정 목표제 81
4-9 통화정책의 쟁점중간목표전략과 정보변수전략 83
4-10 통화정책의 쟁점테일러 준칙 84
4-11 자산시장과 통화정책 86
4-12 자산시장과 일본의 장기불황 88
4-13 최적정책의 비일관성 문제 89
◤Chapter05 실업과 인플레이션 94
5-1 실업의 종류와 개념 96
5-2 자연실업률 논의 98
5-3 우리나라의 실업률 통계 103
5-4 인플레이션 105
5-5 인플레이션과 이자율 110
5-6 인플레이션 조세 111
5-7 기대가 부가된 필립스 곡선의 도출 112
5-8 학파별 필립스곡선 논의 121
◤Chapter06 소비함수 132
6-1 소비함수의 일반론 134
6-2 MBA의 생애소득이론 139
6-3 Friedman의 항상소득이론 141
6-4 소비의 과잉민감성 및 과잉둔감성 현상 144
6-5 불확실성과 소비 145
◤Chapter07 투자함수 146
7-1 투자 일반론 148
7-2 순현재가치법과 내부수익률법 150
7-3 자본의 사용자비용 모형 152
7-4 다기간 최적화 원리에 의한 투자이론 154
7-5 토빈의 이론 155
7-6 불확실성과 투자 157
7-7 신용제약과 투자 158
◤Chapter08 노동시장이론 160
8-1 새케인즈학파의 경직성 모형 162
8-2 효율성 임금 모형 163
8-3 내부자외부자 이론 166
8-4 암묵적 계약 모형 167
◤Chapter09 화폐와 금융시장 168
9-1 화폐 일반론 170
9-2 화폐수량설 173
9-3 Baumol과 Tobin의 현금재고관리 모형 176
9-4 Tobin의 포트폴리오 모형 178
9-5 화폐공급의 분석 180
9-6 하이퍼 인플레이션과 뱅크런 183
9-7 통화증가율 변화와 인플레이션 184
9-8 이자율의 만기구조와 수익률 곡선 187
9-9 이자율의 위험구조 191
◤Chapter10 일반균형의 완성 192
10-1 일반균형 완성 194
10-2 정부지출 증가의 효과 196
◤Chapter11 경기변동이론 198
11-1 경기변동론 개관 200
11-2 화폐적 경기변동이론 202
11-3 실물적 경기변동이론 203
11-4 RBC의 주요 논쟁사항 206
11-5 새케인즈학파의 경기변동이론 208
◤Chapter12 경제성장이론 212
12-1 경제성장 일반론 214
12-2 Solow 모형 216
12-3 내생적 성장이론(new growth model) 236
◤Chapter13 국제금융론 244
13-1 개방경제의 거시적 분석의 기초 246
13-2 환율 변화와 경상수지 250
13-3 환율결정이론 253
13-4 먼델플레밍 모형 262
13-5 국가간 정책효과의 파급과 협조 276
13-6 삼각의 딜레마(불가능성 정리) 279
13-7 DDAA 모형(일반균형 모형) 280
13-8 ISLMIRP 모형 281
13-9 외환시장 개입의 효과 및 한계 284
13-10 자본자유화의 효과 285
◤Chapter 01 거시경제학의 기초 4
1-1 거시경제학의 기초 6
1-2 고전학파와 케인즈학파의 비교 13
◤Chapter 02 국민경제의 총수요 분석 46
2-1 IS 곡선 48
2-2 LM 곡선 63
2-3 ISLM균형 70
2-4 인플레이션 기대를 고려한 IS-LM 모형 119
◤Chapter 03 AS-AD 균형 132
3-1 AD 곡선의 도출 134
3-2 AS 곡선의 도출 147
3-3 단기적 균형과 장기적 균형 183
◤Chapter 04 경제안정화 정책의 분석 234
4-1 총수요관리정책 일반론 236
4-2 재정정책과 통화정책의 상대적 유효성 262
4-3 재정정책의 쟁점구축효과vs 구입효과 287
4-4 재정정책의 쟁점국공채의자산성 논쟁 290
4-5 통화정책의 수단 및 특징 316
4-6 통화정책의 쟁점중간목표논쟁 319
4-7 통화정책의 쟁점정책효과의전달경로 333
4-8 통화정책의 쟁점물가안정목표제 346
4-9 통화정책의 쟁점중간목표전략과정보변수전략 353
4-10 통화정책의 쟁점테일러준칙 355
4-11 자산시장과 통화정책 361
4-12 자산시장과 일본의 장기불황 368
4-13 최적정책의 비일관성 문제 370
◤Chapter 05 실업과 인플레이션 388
5-1 실업의 종류와 개념 390
5-2 자연실업률 논의 394
5-3 우리나라의 실업률 통계 411
5-4 인플레이션 418
5-5 인플레이션과 이자율 430
5-6 인플레이션 조세 433
5-7 기대가 부가된 필립스 곡선의 도출 436
5-8 학파별 필립스곡선 논의 467
◤Chapter 06 소비함수 500
6-1 소비함수의 일반론 502
6-2 MBA의생애소득이론 523
6-3 Friedman의 항상소득이론 525
6-4 소비의 과잉민감성 및 과잉둔감성 현상 535
6-5 불확실성과 소비 538
◤Chapter 07 투자함수 542
7-1 투자 일반론 544
7-2 순현재가치법과 내부수익률법 550
7-3 자본의 사용자비용 모형 553
7-4 다기간 최적화 원리에 의한 투자이론 558
7-5 토빈의 이론 561
7-6 불확실성과 투자 565
7-7 신용제약과 투자 569
◤Chapter 08 노동시장이론 572
8-1 새케인즈학파의 경직성 모형 574
8-2 효율성 임금 모형 577
8-3 내부자외부자이론 587
8-4 암묵적 계약 모형 592
◤Chapter 09 화폐와 금융시장 598
9-1 화폐 일반론 600
9-2 화폐수량설 606
9-3 Baumol과 Tobin의 현금재고관리 모형 612
9-4 Tobin의 포트폴리오 모형 616
9-5 화폐공급의 분석 623
9-6 하이퍼 인플레이션과 뱅크런 632
9-7 통화증가율 변화와 인플레이션 633
9-8 이자율의 만기구조와 수익률 곡선 642
9-9 이자율의 위험구조 656
◤Chapter 10 일반균형의 완성 658
10-1 일반균형 완성 660
10-2 정부지출 증가의 효과 666
◤Chapter 11 경기변동이론 670
11-1 경기변동론 개관 672
11-2 화폐적 경기변동이론 680
11-3 실물적 경기변동이론 683
11-4 RBC의 주요 논쟁사항 692
11-5 새케인즈학파의 경기변동이론 700
◤Chapter 12 경제성장이론 710
12-1 경제성장 일반론 712
12-2 Solow 모형 719
12-3 내생적 성장이론(new growth model) 810
◤Chapter 13 국제금융론 836
13-1 개방경제의 거시적 분석의 기초 838
13-2 환율 변화와 경상수지 860
13-3 환율결정이론 869
13-4 먼델플레밍모형 892
13-5 국가간 정책효과의 파급과 협조 958
13-6 삼각의 딜레마(불가능성 정리) 976
13-7 DDAA모형(일반균형 모형) 978
13-8 ISLMIRP모형 982
13-9 외환시장 개입의 효과 및 한계 992
13-10 자본자유화의 효과 997
No| | 강의명| | 무료보기| | 자료| | 강의시간 |
---|---|---|---|---|
1회 1강 | 07월 23일 : 거시경제학 개관 | HIGH LOW |
![]() |
83분 |
1회 2강 | 07월 23일 : 고전학파의 관점분석 |
![]() |
74분 | |
2회 1강 | 07월 24일 : 케인즈학파의 관점분석 |
![]() |
98분 | |
2회 2강 | 07월 24일 : 화폐시장 | 94분 | ||
2회 3강 | 07월 24일 : 1-5 3가지 역설 | 56분 | ||
3회 1강 | 07월 25일 : 5회 모의고사 |
![]() |
100분 | |
3회 2강 | 07월 25일 : LM 곡선의 기울기 |
![]() |
91분 | |
4회 1강 | 07월 26일 : 총수요 관리정책 |
![]() |
91분 | |
4회 2강 | 07월 26일 : 루카스 공급곡선 |
![]() |
85분 | |
4회 3강 | 07월 26일 : 4장 정책효과의 분석 | 78분 | ||
5회 1강 | 07월 27일 : 확장적 통화정책 |
![]() |
83분 | |
5회 2강 | 07월 27일 : 리카도 대등정리 |
![]() |
94분 | |
5회 3강 | 07월 27일 : 통화정책 | 58분 | ||
6회 1강 | 07월 29일 : 6회 모의고사 |
![]() |
101분 | |
6회 2강 | 07월 29일 : 6-7 테일러 준칙 |
![]() |
68분 | |
6회 3강 | 07월 29일 : 7장 실업과 실업률 | 47분 | ||
7회 1강 | 07월 30일 : 7-2 자연실업률 논의 |
![]() |
103분 | |
7회 2강 | 07월 30일 : 9장 필립스 곡선 |
![]() |
71분 | |
7회 3강 | 07월 30일 : 6-10 동태적 비일관성 | 86분 | ||
8회 1강 | 07월 31일 : 4부 미시적기초 |
![]() |
101분 | |
8회 2강 | 07월 31일 : 10-3 항상소득이론 |
![]() |
83분 | |
8회 3강 | 07월 31일 : 11-2 순현재가치법과 내부 수익률법 | 48분 | ||
9회 1강 | 08월 01일 : 7회 모의고사 |
![]() |
95분 | |
9회 2강 | 08월 01일 : 11-6 불확실성과 투자 |
![]() |
55분 | |
9회 3강 | 08월 01일 : 12부 노동시장 | 53분 | ||
10회 1강 | 08월 02일 : 실질임금 경직성 모형 |
![]() |
93분 | |
10회 2강 | 08월 02일 : 12-5 암묵적 고용계약 모형 |
![]() |
80분 | |
10회 3강 | 08월 02일 : 13-4 보몰 - 토빈의 현금재고관리 모형 | 70분 | ||
11회 1강 | 08월 03일 : 13-6 화폐공급의 분석 |
![]() |
91분 | |
11회 2강 | 08월 03일 : 13-9 이자율의 만기구조와 수익률곡선 |
![]() |
94분 | |
11회 3강 | 08월 03일 : 14장 경기변동이론 | 74분 | ||
12회 1강 | 08월 04일 : 14-4 RBC의 주요 논쟁사항 |
![]() |
91분 | |
12회 2강 | 08월 04일 : 15장 경제성장 이론 | 76분 | ||
12회 3강 | 08월 04일 : 황금률 자본축적 | 50분 | ||
13회 1강 | 08월 05일 : 노동부가형 기술진보 도입된 모형 |
![]() |
94분 | |
13회 2강 | 08월 05일 : 내생적 성장모형 |
![]() |
69분 | |
13회 3강 | 08월 05일 : 국제 무역론 | 45분 | ||
14회 1강 | 08월 11일 08월 11일 : 국제무역론 |
![]() |
94분 | |
14회 2강 | 08월 11일 : 자국시장과 세계시장의 비교 | 82분 | ||
15회 1강 | 08월 11일 : 국제금융론 |
![]() |
91분 | |
15회 2강 | 08월 11일 : 환율결정이론 | 55분 | ||
15회 3강 | 08월 11일 : IS-LM-BP 모형 | 53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