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소개 |
“가장 빠르고 확실한 고득점을 만드는 수험적합성이 극대화된 강의” 쉽게 이론을 이해하고 정확하게, 시험문제를 파악하여 가장 빠르고 확실한 고득점을 위한 기초를 쌓는다!
* 강의일시 : 2025년 5/31(토) ~ 6/25(수), 총 22회 |
강좌특징 |
- 행정학이라는 학문 자체는 난해하고 방대하지만, 5급 공채 행정학 시험문제로 출제되는 내용은 정해져 있습니다. 이를 처음부터 정확하게 파악하고, 그에 맞춰 공부하면 행정학 체계도 금방 잡히고 이론도 ,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 공부는 마음대로 해도 되지만, 시험공부는 무조건 시험문제에 맞춰서 해야 합니다. 시험공부는 시험문제를 모르면 불가능합니다. 그래서 처음부터 시험문제를 확인해야 하고, 그래서 배운 이론이 어떻게 출제되는지를 바로 확인할 겁니다. - 시험문제에 대한 답변을 답안지에 직접 쓰는 연습도 처음부터 매일 할 겁니다. 물론 처음이니 충분히 작성가능한 내용으로 딱 10점 10분 1장을 연습해보면 됩니다. 알아서 다 조절해주니 절대로 부담 갖지도 말고 두려워하지도 말고 무조건 매일매일 직접 쓰세요. 이게 다른 수험생 들과 엄청난 차이를 만들 겁니다. - 행정학 내용을 저만큼 쉽게 이해시켜주는 사람은 없습니다. 행정학 시험에서 저만큼 빠르고 확실하게 고득점하게 만들어주는 사람은 없습니다. 이 모든 것들을 저만큼 수험생이 현실적으 로 따라 할 수 있게 지도해주는 사람은 없습니다. |
✔이 책의 특징
본 개정판에서 추가 내지는 보완된 주요 내용을 간략히 지적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선택과목의 폐지에 따라 관련 내용을 일부 추가하였다. 행정학 일반론과 접목되어 출제될 만한 전자정부의 발전과정, 디지털 정부, 정부 간 관계, 광역행정 등에 관한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
둘째, 입시, 대학모의고사 등에 출제된 주제들을 고려하여 특히 정책수단과 관련된 몇 가지 개념들을 보완하였다. 사회성과연계채권(SIB), 넛지이론, 정책랩과 리빙랩 등이 대표적인 예에 속한다.
셋째, MZ세대 공무원의 조기퇴직, 공무원의 불복종 권리의 법제화, 저성과자 관리방안 등 인사행정 관련 주요 이슈를 별도의 장으로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이외에도 그간 논문자료 형태로 배부한 행정 및 정책사례들을 압축하여 추가하였고, 내용의 이해 및 정리를 돕기 위해 [표]를 보다 많이 활용하였다.
제6판 머리말
늘 그래왔듯이 2022년에 이어 3년 만에 6차 개정판을 내게 되었다. 이번 개정판에서는 교재의 전체적 흐름을 유지하는 가운데 최근의 행정학 교과서나 학술 논문 등을 토대로 새로운 주제를 추가하였다. 또한 변화된 행정제도의 내용과 각종 통계치 등을 가능한 범위 내에서 최대한 반영하고자 노력하였다.
본 개정판에서 추가 내지는 보완된 주요 내용을 간략히 지적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선택과목의 폐지에 따라 관련 내용을 일부 추가하였다. 행정학 일반론과 접목되어 출제될 만한 전자정부의 발전과정, 디지털 정부, 정부 간 관계, 광역행정 등에 관한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
둘째, 입시, 대학모의고사 등에 출제된 주제들을 고려하여 특히 정책수단과 관련된 몇 가지 개념들을 보완하였다. 사회성과연계채권(SIB), 넛지이론, 정책랩과 리빙랩 등이 대표적인 예에 속한다.
셋째, MZ세대 공무원의 조기퇴직, 공무원의 불복종 권리의 법제화, 저성과자 관리방안 등 인사행정 관련 주요 이슈를 별도의 장으로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이외에도 그간 논문자료 형태로 배부한 행정 및 정책사례들을 압축하여 추가하였고, 내용의 이해 및 정리를 돕기 위해 [표]를 보다 많이 활용하였다.
끝으로 개정판 작업을 도와주신 ㈜윌비스 출판부 관계자분들께 깊은 감사의 말씀을 전한다.
2025. 3. 24
박경효
PART 1
행정(학)의 기초적 이해
제1장 행정의 의의와 성격 3
1.행정과 행정학 /3
2. 행정환경 /5
3. 행정의 역할 및 기능 /14
4. 요약:행정체제 및 그 구성요소 /17
제2장 행정학의 정체성 18
1. 정치, 행정, 경영의 관계 /18
2. 행정학에 대한 시각 /24
3. 행정학의 정체성에 관한 논쟁 /29
⋮
(이하 생략)
PART 2
행정이론의 변천
제1장 행정이론의 의미와 분류 59
1. 행정이론의 의미 /59
2. 행정이론의 시기별 분류 /59
제2장 고전적 행정이론 62
1. 행정학 태동 이전의 시대적 상황 /62
2. W. Wilson의 정치행정관 /63
3. Taylor의 과학적 관리법 /66
⋮
(이하 생략)
PART 3
정부와 시장
제1장 정부와 시장에 관한 기초 이론 127
1. 고전적 논쟁:Smith vs. Marx /127
2. 자유와 기획:Hayek vs. Finer /128
3. 시장실패와 정부실패 /129
제2장 신공공관리 135
1. 신공공관리의 등장배경과 의미 /135
2. 신공공관리의 이론적 배경 /136
3. 신공공관리의 주요 내용 /142
⋮
(이하 생략)
PART 4
정부와 시민사회
제1장 새로운 거버넌스의 모색 225
1. 뉴거버넌스에 관한 이론적 고찰 /225
2. 우리나라에서의 뉴거버넌스:myth or reality? /231
3. 협력적 거버넌스 /234
4. 뉴거버넌스와 협력적 거버넌스의 정책사례 분석 /238
5. 참여적 거버넌스 /247
제2장 시민참여와 비정부조직 249
1. 시민참여 /249
2. 시민참여의 사례:공동생산 /252
⋮
(이하 생략)
PART 5
행정책임성과 행정문화
제1장 행정통제와 책임성 297
1. 행정통제와 책임성 /297
2. 행정이론과 책임성 유형 /301
3. 우리나라에서의 행정책임성 확보방향 /306
4. 적극행정 촉진제도 /310
제2장 행정부패, 행정윤리, 그리고 공직가치 315
1. 행정부패 /315
2. 행정윤리 /327
⋮
(이하 생략)
PART 6
정부관료제와 정책
제1장 정부관료제의 다면성 353
1. 정부관료제의 의의 및 개념 /353
2. 정부관료제에 대한 접근방법 /354
제2장 정부관료제의 이론적 고찰 358
1. 관리적 접근방법 /358
2. 정치적 접근방법 /363
3. 경제적 접근방법 /369
⋮
(이하 생략)
PART 7
조 직
제1장 조직의 개념과 목표 471
1. 조직의 다면성 /471
2. 조직의 개념 및 유형 /472
3. 조직목표 /473
제2장 조직구조와 환경 476
1. 조직구조의 특성과 고전적 조직이론 /476
2. 조직과 환경의 관계에 관한 이론 /478
3. 고전적 조직구조(관료제)에 대한 대안적 조직 구조 /485
⋮
(이하 생략)
PART 8
인 사
제1장 인사행정의 가치적 접근 579
1. 인사행정의 가치적 접근 /579
2. 가치적 관점에서의 인사제도 변천 /581
3. 가치적 관점에서 본 한국인사행정의 변화 /582
제2장 인사행정의 제도적 기반 583
1. 엽관제, 실적제, 그리고 직업공무원제 /583
2. 공직분류체계:계급제와 직위분류제 /590
3. 중앙인사행정기관 /593
⋮
(이하 생략)
PART 9
재 무
제1장 재무행정의 기초적 이해 695
1. 재정, 예산, 그리고 재무행정 /695
2. 예산기능과 전통적 예산제도 /695
3. 예산의 원칙 /698
4. 예산의 종류 /701
5. 재정적자, 국가부채, 그리고 재정준칙 /710
제2장 예산과정의 주요 이슈 719
1. 예산결정참여자의 역할과 행태 /719
2. 예산과정의 절차 /721
3. 예비타당성조사제도 /723
⋮
(이하 생략)
PART 10
전자정부와 디지털플랫폼정부
제1장 전자정부의 개념 및 발전단계 785
1. 전자정부의 개념 및 대두배경 /785
2. 전자정부의 범위 및 특성 /786
3. 전자정부의 발전단계 /787
⋮
(이하 생략)
[부록]
찾아보기
/804
그림 목차
[그림 1-1] 행정의 흐름 5
[그림 1-2] 행정환경의 변화와 특징 6
[그림 1-3] 행정체제 및 그 구성요소 17
[그림 3-1] 공공가치창출을 위한 전략적 삼각형 모델 160
[그림 3-2] 논리모형의 단계 172
[그림 5-1] 경쟁가치모형:네 가지 조직⋮
(이하 생략)
표 목차
[표 1-1] 행정과 경영의 차이점 23
[표 1-2] 공공성의 구성요소 47
[표 1-3] 공공가치:산업화시대 vs. 뉴노멀시대 48
[표 2-1] 행정이론의 시기별 분류 60
[표 2-2] Riggs의 일반체제모형 88
⋮
(이하 생략)
사례 목차
[사례] 정부혁신방향으로서의 민첩한 정부 13
[사례] 2016년 5월 구의역 스크린도어 정비업체 직원 사망사고 191
[사례] 우면산 터널 민간투자 사례 198
[사례] 사회성과연계채권 사례 246
[사례] 우리나라의 환경성적표 260
⋮
(이하 생략)
No| | 강의명| | 무료보기| | 자료| | 강의시간 |
---|---|---|---|---|
1회 1강 | 05월 31일 : OT |
![]() |
49분 | |
1회 2강 | 05월 31일 : 행정학 공부방법 및 답안작성 방법~ |
![]() |
72분 | |
1회 3강 | 05월 31일 : 행정학이 무엇인가?~ | 72분 | ||
2회 1강 | 06월 02일 : 정부와 시장~ | 63분 | ||
2회 2강 | 06월 02일 : 23년도 기출문제~, 행정이념~ | 76분 | ||
2회 3강 | 06월 02일 : 공공성~ | 57분 | ||
3회 1강 | 06월 03일 : 행정이론의 변천 |
![]() |
78분 | |
3회 2강 | 06월 03일 : 행정관리론의 조직구성의 원리 | 53분 | ||
3회 3강 | 06월 03일 : 19년도 1문 | 45분 | ||
4회 1강 | 06월 04일 : 제2회 모의고사 / 고전적 행정학에 대한 반발 |
![]() |
68분 | |
4회 2강 | 06월 04일 : 5.신제도주의 p.110 | 69분 | ||
4회 3강 | 06월 04일 : 12년도 일행 3문 | 56분 | ||
5회 1강 | 06월 05일 : 재3회 모의고사 / 정부와 시장 |
![]() |
69분 | |
5회 2강 | 06월 05일 : 2023년 제 1문 | 56분 | ||
5회 3강 | 06월 05일 : 신공공관리론 | 51분 | ||
6회 1강 | 06월 06일 : 제4회 모의고사 / 신공공관리론의 한계 |
![]() |
71분 | |
6회 2강 | 06월 06일 : 2016년 제2문 | 55분 | ||
6회 3강 | 06월 06일 : 균형성과표 p.170 | 51분 | ||
7회 1강 | 06월 07일 : 제 5회 모의고사~ |
![]() |
86분 | |
7회 2강 | 06월 07일 : 민영화의 기대효과~ | 56분 | ||
7회 3강 | 06월 07일 : 민간투자사업~ | 45분 | ||
8회 1강 | 06월 09일 : 정부와 시민사회~ |
![]() |
65분 | |
8회 2강 | 06월 09일 : 뉴거버넌스론의 한계 | 57분 | ||
8회 3강 | 06월 09일 : 현대행정환경 | 55분 | ||
9회 1강 | 06월 10일 : 7회 시험~, 정부와 시민사회~ |
![]() |
78분 | |
9회 2강 | 06월 10일 : 규제거버넌스~ | 48분 | ||
9회 3강 | 06월 10일 : 종합정리~ | 26분 | ||
10회 1강 | 06월 11일 : 제8화 모의고사, 정부와 시민사회~ |
![]() |
65분 | |
10회 2강 | 06월 11일 : 공공가치관리론~ | 59분 | ||
10회 3강 | 06월 11일 : p.306 | 56분 | ||
11회 1강 | 06월 12일 : 제9회시험, 행정책임성과 행정문화~ |
![]() |
71분 | |
11회 2강 | 06월 12일 : 공직윤리~ | 51분 | ||
11회 3강 | 06월 12일 : 조직문화~ | 47분 | ||
12회 1강 | 06월 13일 : 9회차 시험, 선출직 관료와 직업 관료의 관계~ |
![]() |
67분 | |
12회 2강 | 06월 13일 : 선출직 관료와 직업 관료의 관계(2)~ | 56분 | ||
12회 3강 | 06월 13일 : 엘리트주의의 정책결정 방식~ | 57분 | ||
13회 1강 | 06월 14일 : 제12회 모의고사, 정부관전제와 정책~ |
![]() |
84분 | |
13회 2강 | 06월 14일 : 합리모형~ | 57분 | ||
13회 3강 | 06월 14일 : 코렌, 마치, 올슨의 쓰레기통 모형~ p.391 | 49분 | ||
14회 1강 | 06월 16일 : 제12회 모의고사, 정부관료제와 정책~ |
![]() |
67분 | |
14회 2강 | 06월 16일 : 정책평가~ | 58분 | ||
14회 3강 | 06월 16일 : 전통적 해결방식~ p.416 | 56분 | ||
15회 1강 | 06월 17일 : 제13회 모의고사 |
![]() |
75분 | |
15회 2강 | 06월 17일 : 규제의 문제점 p.438 | 56분 | ||
15회 3강 | 06월 17일 : 조직 | 60분 | ||
16회 1강 | 06월 18일 : 제14회 모의고사, 수평구조(팀제)~ |
![]() |
74분 | |
16회 2강 | 06월 18일 : p.502 | 63분 | ||
16회 3강 | 06월 18일 : 조직~ | 44분 | ||
17회 1강 | 06월 19일 : 제15회 모의고사, 매슬로우의 욕구계층이론(욕구5단계론) |
![]() |
70분 | |
17회 2강 | 06월 19일 : 조직시민행동의 선행요인~ | 46분 | ||
17회 3강 | 06월 19일 : 인사~ | 68분 | ||
18회 1강 | 06월 20일 : 제6회 모의고사, 직업 공무원제의 구성요소~ |
![]() |
69분 | |
18회 2강 | 06월 20일 : 계급제와 직위분류제~ | 58분 | ||
18회 3강 | 06월 20일 : 다양성관리~ p.675 | 44분 | ||
19회 1강 | 06월 21일 : 제17회 모의고사, 전략적 인적자원관리~ |
![]() |
71분 | |
19회 2강 | 06월 21일 : 우리나라 고위공무원단의 특징~ | 57분 | ||
19회 3강 | 06월 21일 : 근무성적 평정~ | 48분 | ||
20회 1강 | 06월 23일 : 제18회 모의고사, 고위공무원단의 임용~ |
![]() |
79분 | |
20회 2강 | 06월 23일 : 재무~ | 53분 | ||
20회 3강 | 06월 23일 : 영기준 예산제도~ | 44분 | ||
21회 1강 | 06월 24일 : 제19회 모의고사, 재무~ |
![]() |
72분 | |
21회 2강 | 06월 24일 : 재정준칙~ | 63분 | ||
21회 3강 | 06월 24일 : 예비타당성조사~ p.722 | 41분 | ||
22회 1강 | 06월 25일 : 제20회 모의고사, 재정효율성vs재정민주성 |
![]() |
64분 | |
22회 2강 | 06월 25일 : 성과관리 예산제도 p.757 | 45분 | ||
22회 3강 | 06월 25일 : 회계제도 p.771 / 종강 | 39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