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소개 |
* 강의일시 : 2025년 5/31(토) ~ 6/25(수), 총 22회 |
강좌특징 |
- 예비순환은 한마디로 수험 행정학의 범위를 정하기 위한 과정이므로, ‘기출문제 패턴분석’을통해 수험에 꼭 필요한 핵심 내용을 우선 파악하셔야 합니다. 예비순환 수업을 통해 방대한행정학의 내용을 여과해서 이론적 디딤돌로 삼을 수 있는 기본 내용의 정리 즉‘기본기’를만드는 것이 본 강의의 특징입니다.
구체적으로 본 강의는 ‣ 행정학의 주요 주제에 대한 접근을 위한 시대사ㆍ개념사적 분석 ‣한국 행정 현실을 분석할 수 있는 기본적인 이론 틀 정립 ‣ 기출문제 분석을 통해 수험 행정학주요 주제에 대한 문제의식 제고 ‣ 한국 행정의 주요 사례에 대한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행정학적마인드 배양 등을 목표로 합니다. |
No| | 강의명| | 무료보기| | 자료| | 강의시간 |
---|---|---|---|---|
1회 1강 | 06월 02일 : 오리엔테이션 | HIGH LOW |
![]() |
90분 |
1회 2강 | 06월 02일 : 신공공관리론 p.401 |
![]() |
61분 | |
1회 3강 | 06월 02일 : 신공공관리론 (정치철학적 기반의 신자유주의) p.401 | 57분 | ||
1회 4강 | 06월 02일 : 정부간 판단기준 (2020 행시) p.4 | 52분 | ||
2회 1강 | 06월 03일 : 자료> 계층제, 시장, 네트워크 : ~ p.1 |
![]() |
83분 | |
2회 2강 | 06월 03일 : 자료> 2. 연구 주제의 구체화 p.2 | 70분 | ||
2회 3강 | 06월 03일 : 자료> 네트워크 사회와 사악한 문제 p.23 | 88분 | ||
3회 1강 | 06월 04일 : 신공공관리론 (행정가치 및 문화론) p.132 |
![]() |
91분 | |
3회 2강 | 06월 04일 : 신공공관리론 (시장주의, 신관리주의) p.402 | 80분 | ||
3회 3강 | 06월 04일 : 행정이론 (미국의 역사) | 80분 | ||
4회 1강 | 06월 05일 : 인사행정론 (요약정리 ②) p.242 | 89분 | ||
4회 2강 | 06월 05일 : 실적주의, 직업승무원제 (미국인사행정) p.254 | 93분 | ||
4회 3강 | 06월 05일 : 엽란제와 실적제 (등장배경) | 80분 | ||
5회 1강 | 06월 06일 : 자료 > 23년 행시 50점 |
![]() |
83분 | |
5회 2강 | 06월 06일 : 실적주의의 보완 (공무원제도 개혁) p.261 | 114분 | ||
5회 3강 | 06월 06일 : 대표관료제 p.266 | 64분 | ||
6회 1강 | 06월 09일 : 실적주의 관료제 (요약정리집②) p.262 |
![]() |
86분 | |
6회 2강 | 06월 09일 : 실전주의 평가 | 100분 | ||
6회 3강 | 06월 09일 : 분석 틀 | 75분 | ||
7회 1강 | 06월 10일 : 신제도주의 p.105 |
![]() |
76분 | |
7회 2강 | 06월 10일 : 제도의 기능과 역할 (집합적 딜레마) p.110 | 71분 | ||
7회 3강 | 06월 10일 : 제도 설계가 쉽지 않은가 왜 p.433 | 48분 | ||
7회 4강 | 06월 10일 : 역사적 제도주의 p.114 | 58분 | ||
8회 1강 | 06월 11일 : 역사적 제도주의 (2) p.114 | 94분 | ||
8회 2강 | 06월 11일 : 기출 문제 > 정부예산은 전년도 예산을 p.30 | 58분 | ||
8회 3강 | 06월 11일 : 재무행정론 p.430 | 106분 | ||
9회 1강 | 06월 12일 : 예시답안) I. 서 - 한국에서 공공부문 성과관리 도입 비판 |
![]() |
86분 | |
9회 2강 | 06월 12일 : 행정 가치와 문화론 p.132 | 65분 | ||
9회 3강 | 06월 12일 : 홉스테르 (G.HoFstede) p.205 | 58분 | ||
9회 4강 | 06월 12일 : 사회적 연계망 (네트워크) p.212 | 53분 | ||
10회 1강 | 06월 13일 : 행정 가치 (이념) p.133 | 85분 | ||
10회 2강 | 06월 13일 : 공공성 p.138 | 64분 | ||
10회 3강 | 06월 13일 : 도구적 공공성 p.142 | 63분 | ||
10회 4강 | 06월 13일 : 공익 p.151 | 48분 | ||
11회 1강 | 06월 16일 : 행정 이념 |
![]() |
77분 | |
11회 2강 | 06월 16일 : 제한된 합리성 p.173 | 65분 | ||
11회 3강 | 06월 16일 : 행정개입론, 간섭론 p.219 | 55분 | ||
11회 4강 | 06월 16일 : 기출문제 > 정부 서비스 공급 방식은 ? P.10 | 58분 | ||
12회 1강 | 06월 17일 : 재화 및 서비스론 |
![]() |
75분 | |
12회 2강 | 06월 17일 : 민간위탁 p.230 | 71분 | ||
12회 3강 | 06월 17일 : 민간위탁 (2) p.234 | 119분 | ||
13회 1강 | 06월 18일 : 규제론 (기출문제) p.12 | 68분 | ||
13회 2강 | 06월 18일 : 정책도구 유형론 (살라몬) p.24 | 79분 | ||
13회 3강 | 06월 18일 : 규제의 목적 측면 p.251 | 59분 | ||
13회 4강 | 06월 18일 : 갈등 관리론 (기출문제) p.15 | 53분 | ||
14회 1강 | 06월 19일 : 기출문제> 2015년 도입되는 p.16 | 90분 | ||
14회 2강 | 06월 19일 : 조직론, 기출문제> 행정활동의 내부 관리 p.31 | 80분 | ||
14회 3강 | 06월 19일 : 조직관리 | 83분 | ||
15회 1강 | 06월 20일 : 내부관리 (신관리주의) |
![]() |
82분 | |
15회 2강 | 06월 20일 : 자료) 2. 공공조직 특성분석 p.14 | 71분 | ||
15회 3강 | 06월 20일 : 자료) 3) 조직구조 측면 : 불가피한 관료제 p.15 | 56분 | ||
15회 4강 | 06월 20일 : 동기부여이론, 기출문제 p.46 | 57분 | ||
16회 1강 | 06월 23일 : 조직론 |
![]() |
68분 | |
16회 2강 | 06월 23일 : 조직변수 : 구조 p.67 | 78분 | ||
16회 3강 | 06월 23일 : 관료제 p.97 | 60분 | ||
16회 4강 | 06월 23일 : 관료제와 민주주의의 양면성 p.109 | 53분 | ||
17회 1강 | 06월 24일 : 관료제와 민주주의 (관료 후려치기) p.140 | 52분 | ||
17회 2강 | 06월 24일 : 재무행정론 | 85분 | ||
17회 3강 | 06월 24일 : 예산집행, 기출 (예산편성상 문제점) p.49 | 56분 | ||
17회 4강 | 06월 24일 : 정부회계 p.578 | 52분 | ||
18회 1강 | 06월 25일 : 예산과정, 제도론 p.432 | 79분 | ||
18회 2강 | 06월 25일 : 품목별 예산제도 p.507 | 72분 | ||
18회 3강 | 06월 25일 : 예산의 미시적 구조 p.461 | 60분 | ||
18회 4강 | 06월 25일 : PPBS / 종강 | 55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