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소개 |
“행정학 전반의 흐름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최근의 행정학적 이슈와 연관된 각론 주제에 대한 논리적 전개로 연결되는 좋은 답안을 위한 재미있는 행정학 강의!”
* 강의일시 : 2025년 9/2(화) ~ 9/24(수), 총 20회 |
강좌특징 |
- 예비순환에서는 ‘재미있는 행정학’을 통해 행정이론의 전체적 흐름, 거버넌스 이론과 실제, 행정책임성 등과 같은 총론 부분을 주로 학습하였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1순환에서는 정책, 조직, 인사, 재무 등 각론 부분에 초점을 맞출 것입니다. 그러나 각론의 수험상 주요 이슈들이 총론의 연장선상에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항상 양자를 연계하여 생각하고, 이를 답안작성에 반영하는 노력이 요구됩니다.
- 최근 출제경향은 두 가지로 정리될 수 있습니다. 하나는 한국행정의 주요 이슈나 문제점을 제시하고, 이를 행정이론과 연계하여 서술하는 데 초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해당 주제에 대한 단순 암기를 지양하고 스스로 의문점을 찾고, 이해하고자 하는 공부 자세가 절실히 요구 됩니다. 다른 하나는 출제 주제가 우리가 배우는 전 범위에 분산되는 경향을 보인다는 것입니다. 이는 행정학 전체에 대한 기본기를 잘 갖추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합니다.
- 답안작성과 관련하여 5회의 모의고사와 강평을 실시합니다. 강의내용을 바탕으로 답안을 체계적으로 작성하는 연습을 하고, 사후 강평을 통해 답안지 작성에 관한 구체적인 개선 방안을 학습하고자 합니다. 특히 최근의 기출문제가 주어진 지문에 대한 정확한 해석과 이에 부합하는 답안작성을 요구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이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
✔이 책의 특징
본 개정판에서 추가 내지는 보완된 주요 내용을 간략히 지적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선택과목의 폐지에 따라 관련 내용을 일부 추가하였다. 행정학 일반론과 접목되어 출제될 만한 전자정부의 발전과정, 디지털 정부, 정부 간 관계, 광역행정 등에 관한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
둘째, 입시, 대학모의고사 등에 출제된 주제들을 고려하여 특히 정책수단과 관련된 몇 가지 개념들을 보완하였다. 사회성과연계채권(SIB), 넛지이론, 정책랩과 리빙랩 등이 대표적인 예에 속한다.
셋째, MZ세대 공무원의 조기퇴직, 공무원의 불복종 권리의 법제화, 저성과자 관리방안 등 인사행정 관련 주요 이슈를 별도의 장으로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이외에도 그간 논문자료 형태로 배부한 행정 및 정책사례들을 압축하여 추가하였고, 내용의 이해 및 정리를 돕기 위해 [표]를 보다 많이 활용하였다.
제6판 머리말
늘 그래왔듯이 2022년에 이어 3년 만에 6차 개정판을 내게 되었다. 이번 개정판에서는 교재의 전체적 흐름을 유지하는 가운데 최근의 행정학 교과서나 학술 논문 등을 토대로 새로운 주제를 추가하였다. 또한 변화된 행정제도의 내용과 각종 통계치 등을 가능한 범위 내에서 최대한 반영하고자 노력하였다.
본 개정판에서 추가 내지는 보완된 주요 내용을 간략히 지적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선택과목의 폐지에 따라 관련 내용을 일부 추가하였다. 행정학 일반론과 접목되어 출제될 만한 전자정부의 발전과정, 디지털 정부, 정부 간 관계, 광역행정 등에 관한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
둘째, 입시, 대학모의고사 등에 출제된 주제들을 고려하여 특히 정책수단과 관련된 몇 가지 개념들을 보완하였다. 사회성과연계채권(SIB), 넛지이론, 정책랩과 리빙랩 등이 대표적인 예에 속한다.
셋째, MZ세대 공무원의 조기퇴직, 공무원의 불복종 권리의 법제화, 저성과자 관리방안 등 인사행정 관련 주요 이슈를 별도의 장으로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이외에도 그간 논문자료 형태로 배부한 행정 및 정책사례들을 압축하여 추가하였고, 내용의 이해 및 정리를 돕기 위해 [표]를 보다 많이 활용하였다.
끝으로 개정판 작업을 도와주신 ㈜윌비스 출판부 관계자분들께 깊은 감사의 말씀을 전한다.
2025. 3. 24
박경효
PART 1
행정(학)의 기초적 이해
제1장 행정의 의의와 성격 3
1.행정과 행정학 /3
2. 행정환경 /5
3. 행정의 역할 및 기능 /14
4. 요약:행정체제 및 그 구성요소 /17
제2장 행정학의 정체성 18
1. 정치, 행정, 경영의 관계 /18
2. 행정학에 대한 시각 /24
3. 행정학의 정체성에 관한 논쟁 /29
⋮
(이하 생략)
PART 2
행정이론의 변천
제1장 행정이론의 의미와 분류 59
1. 행정이론의 의미 /59
2. 행정이론의 시기별 분류 /59
제2장 고전적 행정이론 62
1. 행정학 태동 이전의 시대적 상황 /62
2. W. Wilson의 정치행정관 /63
3. Taylor의 과학적 관리법 /66
⋮
(이하 생략)
PART 3
정부와 시장
제1장 정부와 시장에 관한 기초 이론 127
1. 고전적 논쟁:Smith vs. Marx /127
2. 자유와 기획:Hayek vs. Finer /128
3. 시장실패와 정부실패 /129
제2장 신공공관리 135
1. 신공공관리의 등장배경과 의미 /135
2. 신공공관리의 이론적 배경 /136
3. 신공공관리의 주요 내용 /142
⋮
(이하 생략)
PART 4
정부와 시민사회
제1장 새로운 거버넌스의 모색 225
1. 뉴거버넌스에 관한 이론적 고찰 /225
2. 우리나라에서의 뉴거버넌스:myth or reality? /231
3. 협력적 거버넌스 /234
4. 뉴거버넌스와 협력적 거버넌스의 정책사례 분석 /238
5. 참여적 거버넌스 /247
제2장 시민참여와 비정부조직 249
1. 시민참여 /249
2. 시민참여의 사례:공동생산 /252
⋮
(이하 생략)
PART 5
행정책임성과 행정문화
제1장 행정통제와 책임성 297
1. 행정통제와 책임성 /297
2. 행정이론과 책임성 유형 /301
3. 우리나라에서의 행정책임성 확보방향 /306
4. 적극행정 촉진제도 /310
제2장 행정부패, 행정윤리, 그리고 공직가치 315
1. 행정부패 /315
2. 행정윤리 /327
⋮
(이하 생략)
PART 6
정부관료제와 정책
제1장 정부관료제의 다면성 353
1. 정부관료제의 의의 및 개념 /353
2. 정부관료제에 대한 접근방법 /354
제2장 정부관료제의 이론적 고찰 358
1. 관리적 접근방법 /358
2. 정치적 접근방법 /363
3. 경제적 접근방법 /369
⋮
(이하 생략)
PART 7
조 직
제1장 조직의 개념과 목표 471
1. 조직의 다면성 /471
2. 조직의 개념 및 유형 /472
3. 조직목표 /473
제2장 조직구조와 환경 476
1. 조직구조의 특성과 고전적 조직이론 /476
2. 조직과 환경의 관계에 관한 이론 /478
3. 고전적 조직구조(관료제)에 대한 대안적 조직 구조 /485
⋮
(이하 생략)
PART 8
인 사
제1장 인사행정의 가치적 접근 579
1. 인사행정의 가치적 접근 /579
2. 가치적 관점에서의 인사제도 변천 /581
3. 가치적 관점에서 본 한국인사행정의 변화 /582
제2장 인사행정의 제도적 기반 583
1. 엽관제, 실적제, 그리고 직업공무원제 /583
2. 공직분류체계:계급제와 직위분류제 /590
3. 중앙인사행정기관 /593
⋮
(이하 생략)
PART 9
재 무
제1장 재무행정의 기초적 이해 695
1. 재정, 예산, 그리고 재무행정 /695
2. 예산기능과 전통적 예산제도 /695
3. 예산의 원칙 /698
4. 예산의 종류 /701
5. 재정적자, 국가부채, 그리고 재정준칙 /710
제2장 예산과정의 주요 이슈 719
1. 예산결정참여자의 역할과 행태 /719
2. 예산과정의 절차 /721
3. 예비타당성조사제도 /723
⋮
(이하 생략)
PART 10
전자정부와 디지털플랫폼정부
제1장 전자정부의 개념 및 발전단계 785
1. 전자정부의 개념 및 대두배경 /785
2. 전자정부의 범위 및 특성 /786
3. 전자정부의 발전단계 /787
⋮
(이하 생략)
[부록]
찾아보기
/804
그림 목차
[그림 1-1] 행정의 흐름 5
[그림 1-2] 행정환경의 변화와 특징 6
[그림 1-3] 행정체제 및 그 구성요소 17
[그림 3-1] 공공가치창출을 위한 전략적 삼각형 모델 160
[그림 3-2] 논리모형의 단계 172
[그림 5-1] 경쟁가치모형:네 가지 조직⋮
(이하 생략)
표 목차
[표 1-1] 행정과 경영의 차이점 23
[표 1-2] 공공성의 구성요소 47
[표 1-3] 공공가치:산업화시대 vs. 뉴노멀시대 48
[표 2-1] 행정이론의 시기별 분류 60
[표 2-2] Riggs의 일반체제모형 88
⋮
(이하 생략)
사례 목차
[사례] 정부혁신방향으로서의 민첩한 정부 13
[사례] 2016년 5월 구의역 스크린도어 정비업체 직원 사망사고 191
[사례] 우면산 터널 민간투자 사례 198
[사례] 사회성과연계채권 사례 246
[사례] 우리나라의 환경성적표 260
⋮
(이하 생략)
No| | 강의명| | 무료보기| | 자료| | 강의시간 |
---|---|---|---|---|
1회 1강 | 09월 02일 : 오리엔테이션 |
![]() |
80분 | |
1회 2강 | 09월 02일 : 행정이론의 변화 (총론 복습) | 76분 | ||
1회 3강 | 09월 02일 : 위험사회와 정부의 새로운 역할 | 66분 | ||
2회 1강 | 09월 03일 : 답안작성 관련 | 88분 | ||
2회 2강 | 09월 03일 : 4장 정부관료제와 정책과정 | 64분 | ||
2회 3강 | 09월 03일 : 2. 정책 결정 | 66분 | ||
3회 1강 | 09월 04일 : 정책결정 모형 |
![]() |
79분 | |
3회 2강 | 09월 04일 : 정책집행에 대한 접근방법 | 54분 | ||
3회 3강 | 09월 04일 : 강의자료 | 82분 | ||
4회 1강 | 09월 05일 : 답안작성 가이드 라인 |
![]() |
83분 | |
4회 2강 | 09월 05일 : 4) 정책 변동 : 정책옹호연합 모형 | 61분 | ||
4회 3강 | 09월 05일 : 정책평가제도 | 84분 | ||
5회 1강 | 09월 06일 : 1회 모의고사 해설 |
![]() |
98분 | |
5회 2강 | 09월 06일 : 갈등 해결 원칙 p.424 | 78분 | ||
6회 1강 | 09월 08일 : 7장 규제정책 |
![]() |
76분 | |
6회 2강 | 09월 08일 : 규제정치이론 | 59분 | ||
6회 3강 | 09월 08일 : 3.4차산업 혁명과 정뷰 규제개혁 | 79분 | ||
7회 1강 | 09월 09일 : 1회 채점평 |
![]() |
71분 | |
7회 2강 | 09월 09일 : 2장 조직구조와 환경 | 63분 | ||
7회 3강 | 09월 09일 : 대안적 조직구조 기출 | 83분 | ||
8회 1강 | 09월 10일 : 위원회 제도 |
![]() |
75분 | |
8회 2강 | 09월 10일 : 정부조직 개편 | 59분 | ||
8회 3강 | 09월 10일 : 2. 정부조직간 칸막이 현상 | 72분 | ||
9회 1강 | 09월 11일 : 2회 모의고사 해설 |
![]() |
67분 | |
9회 2강 | 09월 11일 : 협업행정 | 71분 | ||
9회 3강 | 09월 11일 : 동기부여이론 | 60분 | ||
10회 1강 | 09월 12일 : 아담스의 공정성이론 |
![]() |
84분 | |
10회 2강 | 09월 12일 : PSM의 확보방안 | 50분 | ||
10회 3강 | 09월 12일 : 리더십 | 80분 | ||
11회 1강 | 09월 13일 : 2회 채점평 | 83분 | ||
11회 2강 | 09월 13일 : 조직과 혁신 | 60분 | ||
11회 3강 | 09월 13일 : 제8편 인사 | 61분 | ||
12회 1강 | 09월 15일 : 3회 모의고사 해설 |
![]() |
71분 | |
12회 2강 | 09월 15일 : 2) 실적제 | 68분 | ||
12회 3강 | 09월 15일 : 우리나라의 실태 : 직업공무원제 + 실적제 | 53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