숨김
>

고등고시

Ai 강좌만
인기검색어
Home >동영상수강신청
황종휴
강사
GS2순환 / 경제학
2024 미시경제학 GS2순환
강의촬영(실강) : 2024년 10월
강의수 : 33강
수강기간 : 25일
1.5배수 완강
강좌
강좌정보 보기 ▼
2024 미시경제학 GS2순환
자동지급강의
  • [2023년~2019년]경제학 최근 5개년 기출문제 연도별 해설특강
  • 2024년 경제학 기출문제 해설특강
주교재 연습책 미시경제학(제5판) 49,500원 (↓10%)
수강생교재 2024 미시경제학 GS2순환 보충+판서 19,000원 (↓0%)
총 주문금액
강좌 0
교재 0
0
강좌정보
강좌유의사항
(필독)

[수강특전]

1. 2024년 경제학 기출문제 해설 특강 무료제공

2. 경제학 최근 5개년(2023 ~ 2019년) 기출문제 연도별 해설 특강 무료제공

강좌소개

“경제학 [연습책]을 활용하여,기출문제 및 다양한 문제의 해결구조를 체화하는 강의! 

문제를 중심으로 모형과 이론을 적용하는 연습을 반복함으로써 

답안 작성의 자신감을 획득하고, 시험장에서 쓸모 있는 실력을 완성합니다.”

 

* 강의일시 : 2024년 10(월), 총 10회

강좌특징

[강의방향]

1순환 강의가‘이론학습을 중심으로 문제풀이를 통한 적용’의 단계였다면, 

2순환 강의는 ‘기출문제와 다양한 문제에 대한 해결을 중심으로 한 이론의 복습’을 목표로 합니다. 문제에 대한 단순한 해설 강의가 아닙니다. 문제의 해결과정에서 등장하는 관련 쟁점의 재확인 및 응용을 통한 사고의 확장을 도와주는 강의입니다. 1차 공부를 병행하는 시기인 만큼, 예습과 복습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수업의 밀도를 높이겠습니다. 

2순환은 내년 3순환 수강이 수월해질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징검다리 역할의 강의입니다. 경제학 이론 공부와 문제연습을 별개로 생각하거나, 문제풀이를 막연하게 미루지 마십시오. 

다양한 문제를 접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주요이론의 체화가 가능합니다. 

막연한 ‘적중’을 목표로 하는 것이 아니라 구체적인 ‘집중’을 목표로, 단순 기계적 연산보다는 ‘사고의 확장과 심화를 완성’할 수 있도록 강의를 진행합니다.

 

[강의목표]

이번 경제학 2순환 강의의 대부분이 주요 기출문제들과 연습책과 연습책 plus의 문제들을 함께 풀어보는 시간으로 구성될 것입니다. 여러분이 시험장에서 만나게 될 문제들은 유연한 사고와 폭넓은 현실감각을 요구하는 문제들입니다. 

따라서 분절된 형태로 준비되어 있는 이론과 모형들은 현장에서의 문제해결에 큰 도움을 주지 못합니다. 

다양한 문제들을 접하면서 각각의 문제들이 어떠한 쟁점을 담고 있는지 확인하여, 자신이 가지고 있는 추상적 지식들을 구체화 할 수 있어야만 오류를 바로잡을 기회가 생깁니다. 쉬운 내용만을 골라 공부하면 어떤 어려움이 생기는지 최근의 기출문제들이 보여주고 있습니다. 

강사들이 범하는 잘못 중 하나가 ‘강사 자신은 이미 알고 있는 결과를 향하여 의도적으로 해결과정을 구성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문제를 접한 수험생은 백지 위에서 스스로 결과를 찾아내야 하는 입장이므로 위와 같은‘강사식’해결 방법은 수험생으로 하여금 실제 시험장에서 필요한 문제풀이 능력을 갖추도록 하는것에 큰 도움을 주지 못합니다. 

연습책에 소개되어 있는 해결 방식과 더불어 다른 해결 방식들도 소개함으로써, 도출되어 있는 답을 향하여 끼워 맞추는 설명이 아니라 백지 위에서 함께 풀어나가는 방식의 설명이 되도록 하겠습니다. 

따라서 이번 2순환 강의에서는 다양한 문제들을 풀어나가는 과정에서 중요 이론과 모형에 대한 정확한 재점검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문제풀이와 이론 점검이 별개가 아님을 느낄 수 있을 것입니다. 

선택과 집중이라는 경제의 기본 원리를 공부에도 적용하여 효과적인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겠습니다.

교재정보
연습책 미시경제학(제5판)
  • 분야 : 5급행정(입법고시) |
  • 저자 : 황종휴 |
  • 출판사 : (주)윌비스 |
  • 판형/쪽수 : 210*270 / 1401
  • 출판일 : 2023-10-30 |
  • 교재비 : 49,500원 (↓10%) [판매중]

✔이 책의 특징


1. 난도 기본/중급 문제들과, 최근 10여년간의 경제학 기출문제들(난도 무관)을 정돈하여 연습책 제5판으로 구성하였다. 따라서 연습책은 이제 중급 문제은행의 성격이 되었다. 연습책 미시경제학 제5판은 총 498문제로 구성되었으며, 이 중 기출문제가 98문제이다. 따라서 연습용 400문제와 기출 98문제를 포함한다.


2. 난도 심화 연습용 문제들과 난도 심화 기출문제들을 정돈하여 연습책+(plus)를 구성하였다. 연습책+는 연습책 심화 버전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3. 초시생 또는 경제학 문제풀이가 충분하지 못하다고 생각되는 수험생들은 중급 수준의 교재인 연습책을 우선적으로 풀어보기를 추천한다. 재시생 또는 심화 문제들을 학습하고 싶은 수험생들은 연습책을 건너뛰고 연습책+를 풀어보는 것도 좋은 선택이 될 것이다.


4. 이제 연습책은 2순환 수업의 교재가 되고, 연습책+는 3순환 수업의 교재가 된다.


 


 


5. 내용이 중복되는 문제들과 지나치게 단순한 문제들은 삭제하였으며, 해설이 어색한 부분들을 가다듬었다. 또한 모든 문제들에 자신의 풀이횟수를 남길 수 있도록 하였으며, 문제를 풀고 난 후 스스로 코멘트를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번 개정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난도 기본/중급 문제들과, 최근 10여년간의 경제학 기출문제들(난도 무관)을 정돈하여 연습책 제5판으로 구성하였다. 따라서 연습책은 이제 중급 문제은행의 성격이 되었다. 연습책 미시경제학 제5판은 총 498문제로 구성되었으며, 이 중 기출문제가 98문제이다. 따라서 연습용 400문제와 기출 98문제를 포함한다. 




2. 난도 심화 연습용 문제들과 난도 심화 기출문제들을 정돈하여 연습책+(plus)를 구성하였다. 연습책+는 연습책 심화 버전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3. 초시생 또는 경제학 문제풀이가 충분하지 못하다고 생각되는 수험생들은 중급 수준의 교재인 연습책을 우선적으로 풀어보기를 추천한다. 재시생 또는 심화 문제들을 학습하고 싶은 수험생들은 연습책을 건너뛰고 연습책+를 풀어보는 것도 좋은 선택이 될 것이다.  




4. 이제 연습책은 2순환 수업의 교재가 되고, 연습책+는 3순환 수업의 교재가 된다.




5. 내용이 중복되는 문제들과 지나치게 단순한 문제들은 삭제하였으며, 해설이 어색한 부분들을 가다듬었다. 또한 모든 문제들에 자신의 풀이횟수를 남길 수 있도록 하였으며, 문제를 풀고 난 후 스스로 코멘트를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중급용 문제은행인 연습책과 상급용 실전문제집인 연습책+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경제학에서 고득점하기를 바란다. 



2023년 10월


편저자 황종휴 강사


1. 공통사항


이 책은 각종 경제학 시험을 준비하는데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많은 수의 문제들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매번 모든 문제들을 다루는 것은 바람직하지도 않고 가능하지도 않다. 시험에 임박한 시기에 미시와 거시, 그리고 국제경제학 분야를 빠른 속도로 리뷰하기 위해 자신이 필요로 하는 문제들을 중심으로 분량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1) 미시편 매뉴얼


문제를 풀 때 모든 문제들을 답안 작성 형식으로 해결하는 것 보다는, 초안을 작성한다는 생각으로 ① 문제에서 요구하는 것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② 해결에 필요한 각종 개념들을 정리하고 ③ 비교적 간단하게 축약된 형식으로 수식, 정답, 그림을 빠르게 그려보며 풀어나가는 것을 추천한다.


요컨대 미시편의 경우 반복적인 회독을 통해 자신이 익숙해진 문제들은 과감하게 넘어가면서, 어렵게 느껴지는 문제나 자신이 생각하기에 의미가 크다고 여겨지는 문제들을 선별해 두는 것이 중요하다.


(2) 거시편 매뉴얼


거시경제학 문제들은 미시경제학 문제들에 비해 빠르게 넘어가기 어려운 문제들이 많다. 즉, 여러 논점들이 서로 다른 형태로 결합되어 있는 문제들이 많기 때문에 미시에 비해 시간이 오래 소요된다. 반면 문제가 요구하는 논점이 유사한 경우 또한 다수이므로 이러한 문제들을 대표문제로 선정하여 분량을 줄여나가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거시경제학 문제들의 상당수가 충격에 의해 각종 변수들이 변화하는 것을 물어보는 문제들이므로, 변수들이 변화하는 이유와 경로를 해설에 제시되어 있는 표현을 중심으로 익혀두면 도움이 될 것이다.



2. 5급 공채/외교관 선발시험/입법고시 초시생을 위한 매뉴얼


처음으로 연습책을 접하는 초시생은 대부분 경제학 2순환 강의를 수강하는 경우일 것이다. 2순환 수업 중 강사가 풀어주는 문제의 수도 상당한 만큼, 이러한 문제들 중심으로 복습에 집중하되 이 과정에서 강사의 설명이나 연습책 표현을 스스로 답안에 현출할 수 있어야 한다는 목표로 임하는 것이 좋다.


수업이 진행되는 동안 연습책의 난도 기본/중급 문제들은 최대한 다 풀어보도록 하는 것이 문제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을 제거하는 것에 큰 도움을 줄 것이다. 만약 이것이 어려운 경우에는 난도 기본/중급 문제들 가운데 별3개 문제들을 선별하여 풀어보기를 권한다.


3. 년차 수험생을 위한 매뉴얼(단, )


(1) PSAT 준비 돌입 이전


난도 심화 문제들을 포함하여 모든 문제들을 풀어보는 것에 도전하고, 단번에 해결되는 문제들은 과감하게 스킵하면서 풀이가 자연스럽지 못한 문제들을 선별하여 기억해두도록 한다. 여러 문제들에서 동일한 내용이 약간씩 변형된 방식으로 표현되고 있으므로 자신의 마음에 드는 표현을 기억하여 답안에 현출할 수 있도록 대비한다.


(2) PSAT 준비기간 중


1차 시험에 대한 각자의 입장이 다른 만큼, 이전에 선별해 둔 문제들 또는 연습책 문제들 가운데 짝수/홀수 문제들을 풀어나가면서 경제학 문제풀이 감각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3) 경제학 3순환 기간 중


3순환 강의에서 사용하는 교재인 연습책+에 포함된 모든 문제들과 강사의 수업내용을 최대한 소화하여 해결하도록 목표를 세우되, 자신이 선별해 둔 연습책 문제들을 추가적으로 풀어나가는 것을 추천한다. 만약 자신이 선별해 둔 문제가 없다면 중요도 별3개 문제들을 중심으로 확인해 나가는 것도 좋다.


(4) 경제학 3순환 이후


자신이 선별해 둔 문제들을 반복적으로 풀고 답안을 작성하면서, 머리에 계속 남겨두어야 할만한 문제들 중심으로 추가적으로 선별을 하여 분량을 줄인다. 



4. 기타 금융공기업 등을 준비하는 수험생 매뉴얼


상대적으로 디테일을 요구하는 문제들이 많이 출제된다. 많은 수의 문제들을 제한된 시간내에 풀어낼 것을 요구하는 경우도 많다. 반면 전반적인 풀이과정을 서술할 것을 요구하는 경우는 많지 않다. 따라서 문제에서 요구하는 정답을 순발력 있게 도출해내는 훈련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 



연습책이 포함하고 있는 다양한 문제들을 빠른 속도로 반복하여 풀이하고, 연습책+의 심화 문제들을 차분히 꼼꼼하게 풀어보는 방법을 추천한다. 


 


 


 

◤Chapter01소비자 선택이론 4


1-1 효용함수와 무차별곡선 6


1-2 예산제약과 예산선 8


1-3 소비자의 효용극대화 11


1-4 소득의 변화와 수요량 18


1-5 가격의 변화와 수요량 23


1-6 교차탄력성 논의 26


1-7 보상변화와 대등변화 28


1-8 간접효용함수를 통한 CV와 EV의 측정 31


1-9 보상수요함수와 보통수요함수 32


1-10 소득세 vs 물품세 34


1-11 각종 보조제도의 비교 36


1-12 물품세를 거둔 후 되돌려주는 제도 39


1-13 부존재화의 교환모형 41


1-14 다기간 소비 모형 42


1-15 개인의 노동공급 의사결정 모형 49


1-16 부의 소득세제와 최저소득 보장제도 비교 54


1-17 현시선호이론 56


1-18 생계비 지수 논의 59


1-19 불확실성하의 소비자 선택 일반론 63


1-20 위험의 측정, 리스크프리미엄 67


1-21 위험의 거래 70


1-22 불확실성을 줄이기 위한 정보의 사용 71


1-23 조건부 상품 모형의 분석 73


1-24 스티글리츠의 탈세 모형 78


1-25 평균­분산 모형 79


◤Chapter02생산자 선택이론 82


2-1 기업의 존재이유 84


2-2 기업의 행동원리 85


2-3 C­D 생산함수의 특징 88


2-4 규모에 대한 수익 91


2-5 기술진보 94


2-6 확장경로 논의 96


2-7 생산함수와 비용함수의 관계 99


2-8 비용곡선의 검토 104


2-9 규모의 경제 관련 논점 105


2-10 다재화 생산기업의 행동원리 106




◤Chapter03완전경쟁시장의 분석 108


3-1 완전경쟁시장의 균형 110


3-2 장기 무이윤 가설의 검토 120


3-3 경쟁균형의 응용­물품세 부과와 탄력성의 문제 121


3-4 경쟁균형의 응용­가격규제 124


3-5 경쟁균형의 응용­수입억제를 위한 정책 126


3-6 소국모형과 대국모형의 비교 129




◤Chapter04독점시장의 분석 130


4-1 독점시장의 균형 132


4-2 독점기업의 가격차별 138


4-3 독점기업의 이부가격 설정 143


4-4 독점기업의 묶어팔기 146


4-5 독점기업에 대한 규제 151


4-6 한계비용 가격규제의 문제점과 대안 156


◤Chapter05독점적 경쟁시장의 분석 158


5-1 독점적 경쟁시장의 분석 160


5-2 독점적 경쟁시장과 국제무역 161




◤Chapter06게임이론 164


6-1 게임이론의 기초 166


6-2 혼합전략 내쉬균형 170


6-3 최소극대화 전략과 안장점 172


6-4 순차게임의 균형 도출 174


6-5 용의자의 딜레마 현상 182


6-6 카르텔 게임과 용의자의 딜레마 186




◤Chapter07과점시장의 분석 190


7-1 꾸르노(Cournot) 모형 분석 192


7-2 다수의 기업이 존재하는 꾸르노 균형의 도출 197


7-3 슈타켈버그(Stackelberg) 모형 200


7-4 베르뜨랑(Bertrand) 모형 203


7-5 카르텔의 분석 210


7-6 과점시장의 기타모형 215


7-7 지적재산권과 특허권의 문제 218




◤Chapter08생산요소시장 및 소득분배 논의 220


8-1 노동시장의 분석 222


8-2 기업의 자본에 대한 수요 결정원리 229


8-3 경제적 지대와 준지대 230


8-4 노동과 자본이 모두 가변투입요소인 경우 232


8-5 소득분배의 공평성 논의 233


◤Chapter09일반균형이론 및 후생경제학 236


9-1 일반균형과 왈라스 법칙 238


9-2 파레토 효율성의 조건 244


9-3 사회후생함수 247


9-4 후생경제학의 제정리 250




◤Chapter10시장의 실패 254


10-1 시장실패와 정부실패 256


10-2 공기업 관련 논의 257


10-3 공공재 258


10-4 외부성의 문제 263


10-5 오염배출권 거래제도 275


10-6 코우즈 정리 280




◤Chapter11정보경제이론 284


11-1 비대칭적 정보의 문제 286


11-2 역선택의 문제와 해결 방안 288


11-3 본인­대리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 : 보수구조 설계 296




◤Chapter12국제무역론 306


12-1 리카도의 무역모형 308


12-2 헥셔­올린 모형 309


12-3 해외아웃소싱과 임금 양극화 현상 311


12-4 내부적 규모의 경제와 국제무역 313


12-5 전략적 무역정책 314






‣ 기출문제 연도별 찾아가기






• 2023년 •


[2023년도 국가공무원 5급(행정) 공채 제2차시험 <필수> 제1문] 197


[2023년도 국가공무원 5급(행정) 공채 제2차시험 <필수> 제2문] 296


[2023년도 외교관후보자 선발 제2차시험 제1문] 280


[2023년도 제39회 입법고시 제2차시험 제2문] 222


[2023년도 제39회 입법고시 제2차시험 제1문] 174


• 2022년 •


[2022년도 국가공무원 5급(행정) 공채 제2차시험 <필수> 제1문] 132


[2022년도 국가공무원 5급(행정) 공채 제2차시험 <필수> 제3문] 203


[2022년도 외교관후보자 선발 제2차시험 제2문] 204


[2022년도 외교관후보자 선발 제2차시험 제3문] 182


[2022년도 제38회 입법고시 제2차시험 제1문] 54


[2022년도 제38회 입법고시 제2차시험 제3문] 204


[2022년도 제38회 입법고시 제2차시험 제4문] 73


• 2021년 •


[2021년도 국가공무원 5급(행정) 공채 제2차시험 <필수> 제1문] 297


[2021년도 국가공무원 5급(행정) 공채 제2차시험 <필수> 제2문] 42


[2021년도 외교관후보자 선발 제2차시험 제2문] 85


[2021년도 외교관후보자 선발 제2차시험 제3문] 43


[2021년도 제37회 입법고시 제2차시험 제2문] 49


[2021년도 제37회 입법고시 제2차시험 제3문] 156


• 2020년 •


[2020년도 국가공무원 5급(행정) 공채 제2차시험 <필수> 제1문] 250


[2020년도 국가공무원 5급(행정) 공채 제2차시험 <필수> 제3문] 138


[2020년도 외교관후보자 선발 제2차시험 제2문] 223


[2020년도 외교관후보자 선발 제2차시험 제3문] 309


[2020년도 제36회 입법고시 제2차시험 제1문] 288


[2020년도 제36회 입법고시 제2차시험 제2문] 275


• 2019년 •


[2019년도 국가공무원 5급(행정) 공개경쟁채용 제2차시험 <필수> 제1문] 263


[2019년도 국가공무원 5급(행정) 공개경쟁채용 제2차시험 <필수> 제3문] 223


[2019년도 국가공무원 5급(행정) 공개경쟁채용 제2차시험 <재정학> 제3문] 36


[2019년도 외교관후보자 선발 제2차시험 제1문] 79


[2019년도 외교관후보자 선발 제2차시험 제2문] 264


[2019년도 제35회 입법고시 제2차시험 제2문] 121


• 2018년 •


[2018년도 외교관후보자 선발 제2차시험 제1문] 200


[2018년도 제34회 입법고시 제2차시험 제3문] 175


• 2017년 •


[2017년도 국가공무원 5급(행정) 공개경쟁채용 제2차시험 <필수> 제1문] 44


[2017년도 국가공무원 5급(행정) 공개경쟁채용 제2차시험 <필수> 제2문] 126


[2017년도 국가공무원 5급(행정) 공개경쟁채용 제2차시험 <필수> 제3문] 186


[2017년도 외교관후보자 선발 제2차시험 제1문] 110


[2017년도 제33회 입법고시 제2차시험 제1문] 280


• 2016년 •


[2016년도 국가공무원 5급(행정) 공채 제2차시험 <필수> 제2문] 63


[2016년도 외교관후보자 선발 제2차시험 제1문] 238


[2016년도 외교관후보자 선발 제2차시험 제2문] 276


[2016년도 외교관후보자 선발 제2차시험 제4문] 138


[2016년도 제32회 입법고시 제2차시험 제1문] 289


• 2015년 •


[2015년도 5급(행정) 공채 제2차시험 <필수> 제2문] 64


[2015년도 외교관후보자 선발 제2차시험 제3문] 49


[2015년도 제31회 입법고시 제2차시험 제1문] 146


[2015년도 제31회 입법고시 제2차시험 제2문] 224


• 2014년 •


[2014년도 5급(행정) 공채 제2차시험 <필수> 제2문] 80


[2014년도 5급(행정) 공채 제2차시험 <필수> 제1문] 264


[2014년도 외교관후보자 선발 제2차시험 제1문] 210


[2014년도 외교관후보자 선발 제2차시험 제3문] 290


[2014년도 제30회 입법고시 제2차시험 제1문] 265


• 2013년 •


[2013년도 5급(행정) 공채 제2차시험 <필수> 제2문] 205


[2013년도 5급(행정) 공채 제2차시험 <재경> 제2문] 129


[2013년도 5급(행정) 공채 제2차시험 <재경> 제4문] 64


[2013년도 외무고등고시 제2차시험 제1문] 266


[2013년도 외교관후보자 선발 제2차시험 제1문] 200


• 2012년 •


[2012년도 5급(행정) 공채 제2차시험 <필수> 제1문] 266


[2012년도 5급(행정) 공채 제2차시험 <재경> 제1문] 215


[2012년도 5급(행정) 공채 제2차시험 <재경> 제2문] 50


[2012년도 5급(행정) 공채 제2차시험 <재경> 제3문] 45


[2012년도 외무고등고시 제2차시험 제2문] 126


[2012년도 제28회 입법고시 제2차시험 제2문] 34


• 2011년 •


[2011년도 5급(행정) 공채 제2차시험 <재경> 제1문] 256


[2011년도 5급(행정) 공채 제2차시험 <필수> 제2문] 192


[2011년도 5급(행정) 공채 제2차시험 <필수> 제3문] 311


[2011년도 외무고등고시 제2차시험 제1문] 88


• 2010년 •


[2010년도 행정고등고시 제2차시험 <필수> 제1문] 133


[2010년도 행정고등고시 제2차시험 <필수> 제3문] 28


[2010년도 행정고등고시 제2차시험 <재경> 제1문] 65


[2010년도 행정고등고시 제2차시험 <재경> 제3문] 6


[2010년도 외무고등고시 제2차시험 제1문] 238


[2010년도 제26회 입법고시 제2차시험 제1문] 244


[2010년도 제26회 입법고시 제2차시험 제2문] 183


• 2009년 •


[2009년도 행정고등고시 제2차시험 <필수> 제3문] 166, 314


[2009년도 행정고등고시 제2차시험 <필수> 제4문] 18


[2009년도 행정고등고시 제2차시험 <재경> 제2문] 277


[2009년도 제25회 입법고시 제2차시험 제1문] 46


• 2008년 •


[2008년도 행정고등고시 제2차시험 <필수> 제2문] 88


[2008년도 제24회 입법고시 제2차시험 제3문] 133


• 2007년 •


[2007년도 행정고등고시 제2차시험 <재경> 제1문] 18


[2007년도 외무고등고시 제2차시험 제2문] 133


[2007년도 외무고등고시 제2차시험 제3문] 310


[2007년도 제23회 입법고시 제2차시험 제2문의 1] 139


[2007년도 제23회 입법고시 제2차시험 제2문의 2] 32


• 2006년 •


[2006년도 행정고등고시 제2차시험 <필수> 제2문] 224


[2006년도 외무고등고시 제2차시험 제1문] 140


[2006년도 제22회 입법고시 제2차시험 제1문] 291


• 2005년 •


[2005년도 행정고등고시 제2차시험 <필수> 제3문] 147


[2005년도 행정고등고시 제2차시험 <재경> 제1문] 239


[2005년도 외무고등고시 제2차시험 제1문] 281


[2005년도 제21회 입법고시 제2차시험 제1문] 267


[2005년도 제21회 입법고시 제2차시험 제2문의 2] 184


• 2004년 •


[2004년도 행정고등고시 제2차시험 제2문] 134


[2004년도 제20회 입법고시 제2차시험 제2문의 1] 74


[2004년도 제20회 입법고시 제2차시험 제2문의 2] 250


• 2003년 •


[2003년도 행정고등고시 제2차시험 제1문] 198


[2003년도 제19회 입법고시 제2차시험 제2문의 1] 36


• 1999년 •


[1999년도 행정고등고시 제2차시험 제4문] 258


 


 


◤Chapter01소비자 선택이론 4


1-1 효용함수와 무차별곡선 6


1-2 예산제약과 예산선 21


1-3 소비자의 효용극대화 33


1-4 소득의 변화와 수요량 57


1-5 가격의 변화와 수요량 85


1-6 교차탄력성 논의 95


1-7 보상변화와 대등변화 101


1-8 간접효용함수를 통한 CV와 EV의 측정 119


1-9 보상수요함수와 보통수요함수 120


1-10 소득세 vs 물품세 126


1-11 각종 보조제도의 비교 136


1-12 물품세를 거둔 후 되돌려주는 제도 154


1-13 부존재화의 교환모형 160


1-14 다기간 소비 모형 163


1-15 개인의 노동공급 의사결정 모형 190


1-16 부의 소득세제와 최저소득 보장제도 비교 214


1-17 현시선호이론 220


1-18 생계비 지수 논의 230


1-19 불확실성하의 소비자 선택 일반론 243


1-20 위험의 측정, 리스크프리미엄 255


1-21 위험의 거래 264


1-22 불확실성을 줄이기 위한 정보의 사용 268


1-23 조건부 상품 모형의 분석 271


1-24 스티글리츠의 탈세 모형 295


1-25 평균­분산 모형 299


◤Chapter02생산자 선택이론 310


2-1 기업의 존재이유 312


2-2 기업의 행동원리 314


2-3 C­D 생산함수의 특징 324


2-4 규모에 대한 수익 337


2-5 기술진보 345


2-6 확장경로 논의 351


2-7 생산함수와 비용함수의 관계 364


2-8 비용곡선의 검토 387


2-9 규모의 경제 관련 논점 388


2-10 다재화 생산기업의 행동원리 390



◤Chapter03완전경쟁시장의 분석 394


3-1 완전경쟁시장의 균형 396


3-2 장기 무이윤 가설의 검토 436


3-3 경쟁균형의 응용­물품세 부과와 탄력성의 문제 437


3-4 경쟁균형의 응용­가격규제 451


3-5 경쟁균형의 응용­수입억제를 위한 정책 457


3-6 소국모형과 대국모형의 비교 470



◤Chapter04독점시장의 분석 476


4-1 독점시장의 균형 478


4-2 독점기업의 가격차별 513


4-3 독점기업의 이부가격 설정 530


4-4 독점기업의 묶어팔기 539


4-5 독점기업에 대한 규제 551


4-6 한계비용 가격규제의 문제점과 대안 573


◤Chapter05독점적 경쟁시장의 분석 578


5-1 독점적 경쟁시장의 분석 580


5-2 독점적 경쟁시장과 국제무역 582



◤Chapter06게임이론 590


6-1 게임이론의 기초 592


6-2 혼합전략 내쉬균형 604


6-3 최소극대화 전략과 안장점 611


6-4 순차게임의 균형 도출 613


6-5 용의자의 딜레마 현상 637


6-6 카르텔 게임과 용의자의 딜레마 650



◤Chapter07과점시장의 분석 660


7-1 꾸르노(Cournot) 모형 분석 662


7-2 다수의 기업이 존재하는 꾸르노 균형의 도출 680


7-3 슈타켈버그(Stackelberg) 모형 689


7-4 베르뜨랑(Bertrand) 모형 705


7-5 카르텔의 분석 734


7-6 과점시장의 기타모형 757


7-7 지적재산권과 특허권의 문제 766



◤Chapter08생산요소시장 및 소득분배 논의 768


8-1 노동시장의 분석 770


8-2 기업의 자본에 대한 수요 결정원리 796


8-3 경제적 지대와 준지대 797


8-4 노동과 자본이 모두 가변투입요소인 경우 802


8-5 소득분배의 공평성 논의 807


◤Chapter09일반균형이론 및 후생경제학 814


9-1 일반균형과 왈라스 법칙 816


9-2 파레토 효율성의 조건 847


9-3 사회후생함수 869


9-4 후생경제학의 제정리 882



◤Chapter10시장의 실패 908


10-1 시장실패와 정부실패 910


10-2 공기업 관련 논의 914


10-3 공공재 918


10-4 외부성의 문제 932


10-5 오염배출권 거래제도 977


10-6 코우즈 정리 993



◤Chapter11정보경제이론 1010


11-1 비대칭적 정보의 문제 1012


11-2 역선택의 문제와 해결 방안 1017


11-3 본인­대리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 : 보수구조 설계 1040



◤Chapter12국제무역론 1060


12-1 리카도의 무역모형 1062


12-2 헥셔­올린 모형 1064


12-3 해외아웃소싱과 임금 양극화 현상 1074


12-4 내부적 규모의 경제와 국제무역 1082


12-5 전략적 무역정책 1085


 


 


 

2024 미시경제학 GS2순환 보충+판서
  • 분야 : 5급행정(입법고시) |
  • 저자 : 황종휴 |
  • 출판사 : 윌비스한림법학원 |
  • 판형/쪽수 : / 605
  • 출판일 : 2025-02-12 |
  • 교재비 : 19,000원 (↓0%) [판매중]

2024 미시경제학 GS2순환 보충+판서

강의목차
No| 강의명| 무료보기| 자료| 강의시간
1회 1강 10월 29일 : 미시경제학 개관 HIGH LOW 102분
1회 2강 10월 29일 : 소비자 선택모형 개관 72분
1회 3강 10월 29일 : 4번 49분
2회 1강 10월 30일 : 심화 문제 89분
2회 2강 10월 30일 : 1-4 소득 변화와 수요량 94분
2회 3강 10월 30일 : 1-6 교차 탄력성 논의 59분
3회 1강 10월 31일 : 1-9 보상 수요와 보통 수요 89분
3회 2강 10월 31일 : 1-13 부존재화의 교환 모형 82분
3회 3강 10월 31일 : 1-15 개인의 노동 공급 의사결정 56분
4회 1강 11월 01일 : 1회 모의고사 98분
4회 2강 11월 01일 : 1-19 불확실성하의 소비자 선택 92분
5회 1강 11월 02일 : 1-23 조건부 상품 모형 82분
5회 2강 11월 02일 : 1-25 평군 분산 모형 95분
6회 1강 11월 04일 : 2회 모의고사 95분
6회 2강 11월 04일 : 완전 경쟁 시장 74분
6회 3강 11월 04일 : 경쟁 균형의 응용 37분
7회 1강 11월 05일 : 3-3 경쟁 균형 응용 213번 90분
7회 2강 11월 05일 : 4-1 독점시장 균형 99분
7회 3강 11월 05일 : 4-2 독점기업 가격차별 62분
8회 1강 11월 06일 : 3회 모의고사 99분
8회 2강 11월 06일 : 6장 게임 이론 65분
8회 3강 11월 06일 : 6-4 순차게임의 균형도출 38분
9회 1강 11월 07일 : 6-4 순차게임 균형 105분
9회 2강 11월 07일 : 7장 과점 70분
9회 3강 11월 07일 : 7-4 베르뜨랑 모형 78분
10회 1강 11월 08일 : 요소 시장 91분
10회 2강 11월 08일 : 8-4 모든 생산 요소가 가변 투입 요소인 경우 77분
10회 3강 11월 08일 : 일반균형이론 57분
11회 1강 11월 09일 : 9-3 사회후생함수 91분
11회 2강 11월 09일 : 10-3 공공재 88분
12회 1강 11월 11일 : 5회 모의고사 해설 85분
12회 2강 11월 11일 : 11장 정보경제이론 76분
12회 3강 11월 11일 : 11-3 (본인-대리인 문제) 64분
직장인반 수강 안내
  • 예) 40일 강좌 수강시
    - 수강 시간 : 평일 18~06시만 수강 / 주말, 공휴일 24시간 수강
    - 수강 기간 : 원래 수강 기간 X 1.4배수(40일 X 1.4 = 56일)
    - 수강 중지 : 3회. 3회의 합은 56일까지
    - 수강 연장 : 3회. 1일 연장 수강료는 원래 수강 기간 40일 기준(강의 종료일까지만 연장 가능)
    - 수강 환불 : 환불일수는 원래 수강 기간 40일 기준(수강 중지시 환불 불가)
    - 직장인반은 일반강의로 변경이 안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