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소개 |
* 강의일시 : 2025년 4/7(월) ~ 4/26(토), 총 18회
* 강의교재 - 국제정치학 3순환용 주요 논문자료집(제본) - 한반도 국제정치의 비극 > 현재 온라인 서점 교재 품절로, 다른 외부서점(법문서적 https://www.bubmoon.com/1_new/a/goods/search.php )에서 구입가능합니다. |
강좌특징 |
주요 논문자료와 중요 시사시슈를 반영한 명쾌한 핵심주제 정리, 신작모의고사를 통한 사안적용 연습, 고득점 답안작성을 위한 자세한 강평과 맵핑, 정원준 국제정치학 3순환강의로 최종마무리 하는 이유입니다!! |
동북아에서 세계적 강대국에 둘러싸인 중소국가 한국은 ‘끼인 국가’의 비운을 온몸으로 겪고 있다. 한반도의 비극은 동북아 지정학과 강대국 정치의 산물이다. 1부는 과거와 현재 동북아 지정학과 패권경쟁 동향을 분석하고 평가했다. 동북아의 패권경쟁은 역내 국제정치의 반복되는 현상이라는 점을 주장하고, 중소국으로서 강대국 세력경쟁 사이에 끼인 한국의 딜레마와 비극을 분석했다.
2부는 한국 외교의 ‘전략 빈곤’ 현상을 분석하고, 전략적 사고의 방법과 국가안보전략 체계를 제시했다. 그리고 지속가능한 외교전략을 수립하는 데 필수적인 국가 정체성을 제시하고 토론했다. 3부에서는 미중 패권경쟁 사이에서 한국의 효과적이고 지속가능한 외교전략을 제시했다. 효과적이고 지속가능한 외교전략을 수립하려면 국가 정체성에 기반을 둔 외교전략과 국민합의가 필요하다는 점도 강조했다.
제1부 동북아 패권경쟁과 한반도의 운명
제1장 미중 경쟁에 대한 한국의 딜레마와 고민
제2장 지정학 시대의 귀환
제3장 동북아 패권전쟁 역사와 한반도의 운명
제4장 중추국의 외교 옵션과 사례 비교
제5장 동북아 지역 안보협력의 모색과 한계
제2부 한국 외교를 위한 전략적 사고
제6장 한국 외교에서 전략의 빈곤과 전략의 활용
제7장 국가안보전략의 체계와 방법
제8장 한국의 4대 국가 정체성과 국익
제9장 국제안보를 위한 전통 안보와 신안보 방법
제3부 동북아 신지정학 시대 한국의 선택
제10장 한국의 지속가능 신외교전략
제11장 미중 패권경쟁에 대한 한국의 중추국 외교
제12장 공동안보 기반의 동북아 지역 전략
제13장 북한 핵무장 이후 북핵 외교와 억제 전략
No| | 강의명| | 무료보기| | 자료| | 강의시간 |
---|---|---|---|---|
1회 1강 | 04월 07일 : 오리엔테이션 | HIGH LOW |
![]() |
100분 |
1회 2강 | 04월 07일 : AI와 국제정치 | 58분 | ||
1회 3강 | 04월 07일 : 미국과 중국과의 관계 | 62분 | ||
2회 1강 | 04월 08일 : 트럼프 2기 |
![]() |
78분 | |
2회 2강 | 04월 08일 : 러시아 - 우크라이나 전쟁 p.46 |
![]() |
92분 | |
3회 1강 | 04월 09일 : 북극해 |
![]() |
76분 | |
3회 2강 | 04월 09일 : 북극해의 성격 |
![]() |
36분 | |
3회 3강 | 04월 09일 : 북극해의 성격 (2) | 53분 | ||
4회 1강 | 04월 10일 : 우크라이나 전쟁이 러시아의 북극 정책에 미친 영향 p.93 |
![]() |
58분 | |
4회 2강 | 04월 10일 : 부록1, AI 풀스택 구조에서의 ~ p.282 | 64분 | ||
4회 3강 | 04월 10일 : 인공지능과 미·중 전략 경쟁의 국제정치 p.284 | 39분 | ||
5회 1강 | 04월 11일 : 브래튼 우즈 체제, 플랫폼 국가의 출현 p.238 |
![]() |
69분 | |
5회 2강 | 04월 11일 : 20세기 초국적 기업 등장 p.242 |
![]() |
57분 | |
5회 3강 | 04월 11일 : IV. 발전국가 : AI 분야에서의 p.264 | 28분 | ||
6회 1강 | 04월 12일 : 논문) 시진핑 정권의 군민융합 발전전략과~ |
![]() |
73분 | |
6회 2강 | 04월 12일 : 논문) 반도체 P.212 |
![]() |
42분 | |
6회 3강 | 04월 12일 : 논문) 미중간 군사기술 경쟁과 세력전이~ |
![]() |
31분 | |
7회 1강 | 04월 14일 : 정보화 혁명과 국제정치 |
![]() |
85분 | |
7회 2강 | 04월 14일 : 디지털 기술의 무기화는 p.344 |
![]() |
67분 | |
7회 3강 | 04월 14일 : 둘째, 스타링크의 도움이다 p.14 | 44분 | ||
7회 4강 | 04월 14일 : 하이브리드 전쟁의 역설 | 27분 | ||
8회 1강 | 04월 15일 : 다자주의 |
![]() |
58분 | |
8회 2강 | 04월 15일 : 다자주의는 왜 퇴조하는가 |
![]() |
60분 | |
9회 1강 | 04월 16일 : 소다자주의 전략 |
![]() |
54분 | |
9회 2강 | 04월 16일 : 인도 태평양 지역 소다자 안보협력 |
![]() |
54분 | |
9회 3강 | 04월 16일 : 인도 태평양 지역 소다자 안보협력 (2) | 42분 | ||
10회 1강 | 04월 17일 : 답안 강평 |
![]() |
73분 | |
10회 2강 | 04월 17일 : 신브레튼 우즈 체제 |
![]() |
59분 | |
10회 3강 | 04월 17일 : III. 신브레튼 우즈 체제의 안정성 p.311 |
![]() |
49분 | |
11회 1강 | 04월 19일 : 글로벌이슈 : 환경, 에너지~ |
![]() |
61분 | |
11회 2강 | 04월 19일 : III. 식량문제의 안보적 의미 p.134 |
![]() |
45분 | |
11회 3강 | 04월 19일 : 자유주의 식량안본론의 비판적 고찰 | 41분 | ||
12회 1강 | 04월 21일 : 에너지 인프라 안보의 개념틀 |
![]() |
73분 | |
12회 2강 | 04월 21일 : 신흥 비전통 위협 |
![]() |
44분 | |
12회 3강 | 04월 21일 : 러시아의 에너지 무기화 전략 |
![]() |
51분 | |
13회 1강 | 04월 22일 : 신흥안보 거버넌스 |
![]() |
72분 | |
13회 2강 | 04월 22일 : 다. 구성주의적 관점 p.16 |
![]() |
72분 | |
13회 3강 | 04월 22일 : 인구, 이주, 난민안보의 '복합지적학' | 51분 | ||
14회 1강 | 04월 23일 : 외교사 (1) |
![]() |
83분 | |
14회 2강 | 04월 23일 : 외교사 (2) |
![]() |
69분 | |
15회 1강 | 04월 24일 : 외교사 (3) |
![]() |
70분 | |
15회 2강 | 04월 24일 : 외교사 (4) | 68분 | ||
15회 3강 | 04월 24일 : 외교사 (5) | 49분 | ||
16회 1강 | 04월 25일 : 외교사 (6) |
![]() |
99분 | |
16회 2강 | 04월 25일 : 외교사 (7) | 56분 | ||
16회 3강 | 04월 25일 : 동아시아 개항과 근대화 | 55분 | ||
17회 1강 | 04월 26일 : 청일전쟁 |
![]() |
70분 | |
17회 2강 | 04월 26일 : 청일전쟁(2) | 56분 | ||
17회 3강 | 04월 26일 : 시포노세키 조약 | 29분 | ||
18회 1강 | 04월 28일 : 1차 대전 p.170 |
![]() |
74분 | |
18회 2강 | 04월 28일 : 워싱턴 회의 | 68분 | ||
18회 3강 | 04월 28일 : 대승항, 1945년 이후 | 50분 | ||
18회 4강 | 04월 28일 : 냉전의 시작과 전개 p.358 | 37분 | ||
19회 1강 | 04월 29일 : 베를린 블록 케이드, 마샬 플랜 p.392 |
![]() |
84분 | |
19회 2강 | 04월 29일 : 쿠바 미사일 위기 p.859 | 55분 | ||
19회 3강 | 04월 29일 : 맥마흔 - 후세인 서한 / 종강 | 52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