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좌소개 |
“정치학 기본이론에 대한 간략한 리뷰와한국정치 현실적용에 대한 심도 있는 학습을 통해 쉽고 분명하게 이해하여 적용할 수 있는 명쾌한 정치학 강의!”
* 강의일시 : 2025년 9/25(목) ~ 10/20(금), 총 19회 |
| 강좌특징 |
“쉽고 분명하게 이해되는 강의!!!” - 학부와 대학원에서 정치학을 전공한 정통파 강사가 쉽고 분명하게 이해시켜 드립니다 - 예비순환에서 학습한 기본이론을 간략하게 리뷰한 후 한국정치 현실적용 강의를 합니다. - 여러 단행본과 논문들을 수험스타일로 정리한 자료집인 ‘펀더멘탈 정치학 심화이론 편’을이용하여 막연한 정치학 이론을 구체적이고 정확하게 습득할 수 있도록 학습합니다. - 예비순환을 듣지 못한 분들도 따라올 수 있도록 배려하면서 강의합니다. - 경제학, 행정법 공부에 힘겨워 정치학을 열심히 공부하지 못한 분들도 따라올 수 있도록 강의합니다. 하지만 수준을 절대 떨어뜨리지는 않습니다. |
| No| | 강의명| | 무료보기| | 자료| | 강의시간 |
|---|---|---|---|---|
| 1회 1강 | 09월 25일 : 오리엔테이션 | HIGH LOW |
|
65분 |
| 1회 2강 | 09월 25일 : 대통령제와 국회해산권 | 58분 | ||
| 1회 3강 | 09월 25일 : 책임성확보의 어려움 | 59분 | ||
| 2회 1강 | 09월 26일 : 한국의 대통령제의 논의 | 66분 | ||
| 2회 2강 | 09월 26일 : 내각제의 성공요인 | 55분 | ||
| 2회 3강 | 09월 26일 : 정책의 연속성 | 55분 | ||
| 3회 1강 | 09월 27일 : 당정분리 | 55분 | ||
| 3회 2강 | 09월 27일 : 내각제 성공조건, 이원집정제 | 58분 | ||
| 3회 3강 | 09월 27일 : 단순다수제 | 61분 | ||
| 4회 1강 | 09월 29일 : 모의고사 해설 |
|
65분 | |
| 4회 2강 | 09월 29일 : 단순다수제 장단점 | 53분 | ||
| 4회 3강 | 09월 29일 : 개선방안 p.219 | 39분 | ||
| 5회 1강 | 09월 30일 : 1인 2표 선거제도 p.275 |
|
55분 | |
| 5회 2강 | 09월 30일 : 융합식 혼합형(연동형비례대표) | 59분 | ||
| 5회 3강 | 09월 30일 : 빈칸넣기 p.200 | 57분 | ||
| 6회 1강 | 10월 01일 : 보정의석 | 55분 | ||
| 6회 2강 | 10월 01일 : 석패율제의 장점 | 53분 | ||
| 6회 3강 | 10월 01일 : 50퍼센트 연동형 비례대표 p.306 | 66분 | ||
| 7회 1강 | 10월 02일 : 정당의 기능 |
|
55분 | |
| 7회 2강 | 10월 02일 : 보수주의 | 58분 | ||
| 7회 3강 | 10월 02일 : 동결명제, 결빙명제 | 45분 | ||
| 8회 1강 | 10월 03일 : 정치적 요인의 간과 p.50 |
|
58분 | |
| 8회 2강 | 10월 03일 : 오픈프라이머리 장단점 p.73 | 52분 | ||
| 8회 3강 | 10월 03일 : 구체적 사례 p.82 | 64분 | ||
| 9회 1강 | 10월 04일 : 정당중심과 대중매체 | 75분 | ||
| 9회 2강 | 10월 04일 : 대중정당의 퇴조 | 48분 | ||
| 9회 3강 | 10월 04일 : 대중정당론 | 45분 | ||
| 10회 1강 | 10월 09일 : 한국의 의회 p.129 |
|
63분 | |
| 10회 2강 | 10월 09일 : 대통령과 의회 | 53분 | ||
| 10회 3강 | 10월 09일 : 본회의중심주의 | 42분 | ||
| 11회 1강 | 10월 10일 : 한국의 정치문화 P.231 |
|
54분 | |
| 11회 2강 | 10월 10일 : 가족적 국가관 | 61분 | ||
| 11회 3강 | 10월 10일 : 발전국가 | 54분 | ||
| 12회 1강 | 10월 11일 : 한국의 발전국가 성공요인 p.246 | 56분 | ||
| 12회 2강 | 10월 11일 : 김대중 노무현 정부 p.254 | 56분 | ||
| 12회 3강 | 10월 11일 : 한국의 조합주의 | 59분 | ||
| 13회 1강 | 10월 13일 : 국제정치 개론 |
|
50분 | |
| 13회 2강 | 10월 13일 : 국가이기주의와 갈등 | 61분 | ||
| 13회 3강 | 10월 13일 : 세력균형 | 38분 | ||
| 14회 1강 | 10월 14일 : 평가 p.271 |
|
52분 | |
| 14회 2강 | 10월 14일 : 한국의 이익집단 p.221 | 61분 | ||
| 14회 3강 | 10월 14일 : 이상주의 | 62분 | ||
| 15회 1강 | 10월 15일 : 실증주의 | 53분 | ||
| 15회 2강 | 10월 15일 : 구성주의 | 55분 | ||
| 15회 3강 | 10월 15일 : 2008년 기출문제 | 76분 | ||
| 16회 1강 | 10월 16일 : 메타이론적 질문 p.52 |
|
60분 | |
| 16회 2강 | 10월 16일 : 외교정책 결정과정 p.147 | 54분 | ||
| 16회 3강 | 10월 16일 : 동맹의 정의 p.67 | 43분 | ||
| 17회 1강 | 10월 17일 : 전쟁과 평화 시각별 입장 p.84 |
|
53분 | |
| 17회 2강 | 10월 17일 : 핵확산 방지 노력 | 54분 | ||
| 17회 3강 | 10월 17일 : 선제공격과 예방공격 | 74분 | ||
| 18회 1강 | 10월 18일 : 비국가 행위자 | 65분 | ||
| 18회 2강 | 10월 18일 : 지속가능한 개발 p.208 | 57분 | ||
| 18회 3강 | 10월 18일 : 제1차 이라크 전쟁 | 53분 | ||
| 19회 1강 | 10월 20일 : 중국위험론 |
|
57분 | |
| 19회 2강 | 10월 20일 : 민간안보 | 57분 | ||
| 19회 3강 | 10월 20일 : 2. 도덕적 관점 p.1006 | 39분 | ||
| 20회 1강 | 10월 22일 : 세계화, 상호의존, 현실주의 vs 자유주의 현실 p.79 |
|
55분 | |
| 20회 2강 | 10월 22일 : 근대화 이론, 구성주의, 왈츠의 신현실주의 | 56분 | ||
| 20회 3강 | 10월 22일 : 지역주의 vs 세계화, 통합 이론 1. 기능주의 2. 신기능주의 | 49분 | ||
| 21회 1강 | 10월 23일 : 현실주의시각, 구조주의~ p.130 | 57분 | ||
| 21회 2강 | 10월 23일 : 민족주의 2가지 종류~ | 50분 | ||
| 21회 3강 | 10월 23일 : 테러리즘, 중상주의, 패권안정이론 | 52분 | ||
| 22회 1강 | 10월 24일 : 자유주의, 패트리어트 법~ p.77 | 60분 | ||
| 22회 2강 | 10월 24일 : 전통적 안보, 유치산업 보호~ | 57분 | ||
| 22회 3강 | 10월 24일 : 트라핀의 딜레마, 국제수지 불균형 조정~ | 46분 | ||
| 23회 1강 | 10월 25일 : IMF논쟁 p.47 | 55분 | ||
| 23회 2강 | 10월 25일 : 정치철학과 민주주의 | 46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