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소개 |
○ 법원행시 형법 제2차 논문형 필기시험에서 합격선을 훨씬 초월하는 고득점을 목표로 하는 강의 ○ 형법강의교재에 있는 기출사례들을 5회 분량으로 적절하게 나누어서 강의를 진행 ○ 14개년 기출 해설을 통해 핵심 중요판례의 내용을 사실관계와 그 논거 및 취지 중심으로 학습하는 강의
* 강의일시 : 2025년 3/4(월) ~ 3/6(목), 총 5회 |
강좌특징 |
1. 본 교재는 법원행시 형법 제2차 논문형 필기시험에서 합격선을 훨씬 초월하는 고득점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2. 2025년 제43회 법원행시 시험부터 출제의 골격이 완전히 바뀌게 됩니다. 3. 본 교재에는 제29회~제42회까지 14년간 제2차 형법 논문형 필기시험(사례문제)에서 출제된 기출문제 해설이 수록되어 있습니다. 4. 수험생들의 취향을 고려하여 예시답안의 양을 조절하였습니다. 5. 답안의 내용이 철저하게 판례를 중심으로 구성되도록 하였습니다 6. 답안작성의 방향을 정확하게 제시하는 방법을 담고 있습니다. |
✔이 책의 특징
- 본 교재는 법원행시 형법 제2차 논문형 필기시험에서 합격선을 훨씬 초월하는 고득점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본 교재에는 제29회~제42회까지 14년간 제2차 형법 논문형 필기시험(사례문제)에서 출제된 기출문제 해설이 수록되어 있습니다.
- 수험생들의 취향을 고려하여 예시답안의 양을 조절하였습니다.
- 답안의 내용이 철저하게 판례를 중심으로 구성되도록 하였습니다.
- 답안작성의 방향을 정확하게 제시하는 방법을 담고 있습니다.
1. 본 교재는 법원행시 형법 제2차 논문형 필기시험에서 합격선을 훨씬 초월하는 고득점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본 교재는 법원행시 형법과목의 제2차 논문형 시험을 대비한 기출문제와 그에 대한 해설을 수록한 문제해설 교재입니다. 다른 교재들 보다 더 한층 수험적합성을 갖추도록 다양한 고득점 요소들을 철저하게 계산하여 만들었습니다. 바늘구멍을 통과는 것과 같은 법원행시 합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오로지 합격선을 훨씬 초월하는 고득점을 목표로 삼고 있습니다.
2. 2025년 제43회 법원행시 시험부터 출제의 골격이 완전히 바뀌게 됩니다.
①모두 다 주지하고 있는 것처럼 2025년 제1차 시험에서 민법, 형법 과목에서 선택형 시험이 없어지고, 그 자리는 PSAT 문제로 대체됩니다.
②이제 법원행시에서 법학과목은 2차 논문형 내지는 사례형 문제만으로 승부를 보아야 합니다. 기존에는 1차 시험에서 선택형 문제를 준비하면서 법학과목을 미리부터 대비할 수 있었으나, 앞으로는 그 성격이 완전 다른 차원의 문제인 PSAT을 마치고 불과 2달 남짓한 기간 안에 법학 5개 과목을 준비해야 합니다.
③종래에도 1차, 2차 시험을 동시에 준비해왔지만, 이후로는 더욱 더 PSAT 시험을 대비함과 동시에 사전에 법학과목에 대한 철저한 학습이 이루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3. 본 교재에는 제29회~제42회까지 14년간 제2차 형법 논문형 필기시험(사례문제)에서 출제된 기출문제 해설이 수록되어 있습니다.
①변호사시험은 이론쟁점이 함께 출제되기 때문에 출제 패턴이 확실하고 또 규칙성이 있어서 상당 부분 출제될 쟁점들이 예측가능 합니다. 그러나 95% 이상 판례쟁점 위주로 출제되는 법원행시 시험은 이러한 패턴을 익히기에는 판례쟁점이 너무 많습니다.
②이에 따라 지난 14년간의 출제패턴을 분석해 보아도 단 한 번도 동일한 패턴이 반복된 적이 없었습니다. 수험생이라면 누구나 잘 아는 핵심판례가 당연히 출제되다가도, 돌연 대법원이 아닌 저 구석에 있는 고등법원 판결이 출제되기도 합니다. 바로 지난 제41회 시험문제가 그랬습니다.
③그러므로 수험 전문가들로 출제 패턴을 예측하는 것이 쉽지 않고, 수험생들의 입장은 더 어려울 것입니다. 그러나 지난 14년간의 출제패턴을 고시 전문가의 입장에서 깊숙이 들여다보면 큰 틀에서의 출제패턴은 얼마든지 뽑아낼 수 있습니다.
④그 비결은 핵심 중요판례의 내용을 사실관계와 그 논거 및 취지 중심으로 학습한다는 기본적인 공부 방법의 틀을 아주 잘 유지한다는 것입니다.
⑤기본기가 충실하면 어떠한 변칙적인 변화에도 잘 대응할 수 있다는 것은 당연한 이치일 것입니다. 14년간 출제된 사례문제를 풀어만 보아도 충분히 기본실력이 탄탄하게 다져질 수 있도록 문제 해설을 만들어 놓았습니다.
4. 수험생들의 취향을 고려하여 예시답안의 양을 조절하였습니다.
①법원행시 합격수기를 읽어 보면, 합격생들이 작성한 답안의 양은 개인에 따라 1장이든 2장이든 천차만별입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각 문제당 답안을 풍부한 내용을 담고 있는 상세답안과 간결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실전답안 2개로 구성하였습니다.
②이렇게 함으로써 수험생의 취향에 따라 답안지의 양을 늘려 쓰거나 또는 줄여 쓰는 것이 모두 가능하게 하였습니다.
5. 답안의 내용이 철저하게 판례를 중심으로 구성되도록 하였습니다.
①법원행시는 대학교수들이 문제를 출제하는 것이 아니라, 법원행정처의 현직 판사들과 법원 고위직 공무원들이 출제합니다. 이들에게는 학설이란 별다른 의미가 없고, 오직 판례의 내용에 그 핵심이 있습니다. 판사들이나 법원공무원들은 실무가이지 법학을 연구하는 학자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②이러한 법원행시의 특성을 고려하여 판례 위주로만 문제의 논거를 구성하도록 하였습니다. 학설의 태도는 거의 언급한 바 없습니다. 판례의 내용만 잘 알고 있어도 2차 답안작성에 아무런 문제도 없습니다. 오히려 법원행시의 특성상 학설은 걸림돌이 될 수 있습니다. 아무런 걱정도 할 필요 없습니다. 판례만 제대로 익히면 1차, 2차 시험 모두 아주 효율적으로 대비할 수 있습니다.
6. 답안작성의 방향을 정확하게 제시하는 방법을 담고 있습니다.
각 문제마다 빠짐없이 ‘답안작성 Tip’을 달아서 답안작성이 어느 방향으로 가야하는지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본 교재를 출간하는 데 커다란 힘을 써주신 (주)윌비스한림법학원 김지훈 원장님, 정문순 팀장님, 박흥수 과장님, 강경민 대리님께 우선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무엇보다도 언제나 본 책의 편집과 출간을 맡아서 모든 것을 처리해 주시는 출판기획팀의 원성일 수석님께 특히 고마운 말씀을 전하며, 또한 권윤주 차장님과 이충수 과장님 그리고 출판기획팀 직원 여러분들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아무쪼록 본 교재가 법원 행정고시를 준비하는 수험생 여러분들의 합격에 큰 보탬이 되기를 간절히 기도드립니다.
2024년 11월 5일
법학박사 이재상 올림
/ 법원행정고시 2차 형법 문제 및 해설 /
■제29회(2011년) / 2
제29회(2011년) 제1문 4
제29회(2011년) 제2문 10
■제30회(2012년) / 18
제30회(2012년) 제1문 20
제30회(2012년) 제2문 24
■제31회(2013년) / 30
제31회(2013년) 제1문 32
제31회(2013년) 제2문 38
■제32회(2014년) / 44
제32회(2014년) 제1문 46
제32회(2014년) 제2문 54
■제33회(2015년) / 62
제33회(2015년) 제1문 64
제33회(2015년) 제2문 70
■제34회(2016년) / 78
제34회(2016년) 제1문 80
제34회(2016년) 제2문 86
■제35회(2017년) / 94
제35회(2017년) 제1문 96
제35회(2017년) 제2문 102
제35회(2017년) 제3문 106
■제36회(2018년) / 112
제36회(2018년) 제1문 114
제36회(2018년) 제2문 122
■제37회(2019년) / 130
제37회(2019년) 제1문 132
제37회(2019년) 제2문 142
■제38회(2020년) / 148
제38회(2020년) 제1문 150
제38회(2020년) 제2문 162
■제39회(2021년) / 172
제39회(2021년) 제1문 174
제39회(2021년) 제2문 180
■제40회(2022년) / 190
제40회(2022년) 제1문 192
제40회(2022년) 제2문 198
■제41회(2023년) / 206
제41회(2023년) 제1문 208
제41회(2023년) 제2문 218
■제42회(2024년) / 226
제42회(2024년) 제1문 228
제42회(2024년) 제2문 238
No| | 강의명| | 무료보기| | 자료| | 강의시간 |
---|---|---|---|---|
1회 1강 | 03월 04일 : 제29회 (2011년) 제1문 p.4 | HIGH LOW |
![]() |
65분 |
1회 2강 | 03월 04일 : 제30회 (2012년) 제1문 p.20 | 41분 | ||
1회 3강 | 03월 04일 : 제31회 (2013년) 제1문 p.30 | 43분 | ||
2회 1강 | 03월 05일 : 제32회 (2014년) 제1문 p.46 | 65분 | ||
2회 2강 | 03월 05일 : 제33회 (2015년) 제1문 p.64 | 48분 | ||
2회 3강 | 03월 05일 : 제33회 (2015년) 제2문 p.70 | 59분 | ||
3회 1강 | 03월 05일 : 제34회 (2016년) 제2문 p.86 | 66분 | ||
3회 2강 | 03월 05일 : 제35회 (2017년) 제3문 p.106 | 72분 | ||
3회 3강 | 03월 05일 : 제37회 (2019년) 제1문 p.132 | 46분 | ||
4회 1강 | 03월 06일 : 제37회 (2019년) 제2문 p.142 | 70분 | ||
4회 2강 | 03월 06일 : 1. 부정처사후수뢰죄의 성부 p.156 | 63분 | ||
4회 3강 | 03월 06일 : 제39회 (2021년) 제2문 p.180 | 54분 | ||
5회 1강 | 03월 06일 : CASE 제40회 (2022년) 제2문 p.198 | 61분 | ||
5회 2강 | 03월 06일 : CASE 제41회 (2023년) 제2문 p.218 / 종강 | 69분 |